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작은 기포가 캐러멜을 더 쫄깃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교수와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 기계공학과 산토찬 교수는 캐러멜 반죽 속에 큰 기포보다 작은 기포가 많아질수록 탄력이 높아진다고 발표했어요. 캐러멜은 액체처럼 흐물거리지만 고체처럼 단단한 ‘점탄성 물질’이에요. 연구팀은 점탄성 물질을 만들 때, 반죽의 강도와 온도를 조절해 반죽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어둠 속 등불처럼 환한 버섯? 황금등불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버섯이지만, 황금등불버섯은 ‘자낭균’이기 때문입니다.담자균과 자낭균의 가장 큰 차이는 포자를 형성하는 세포의 모양입니다. 담자균은 일반적으로 4개의 뿔이 달려 있는 도자기처럼 생긴 ‘담자기’라는 세포를 형성해요. 이 4개의 뿔에서 포자가 열리고 모두 4개의 포자를 형성하지요. 반면 ... ...
- [2023 이그노벨상] 공중보건상 - 스마트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우주인들이 지구에 있는 의사와 바로 연결되지 않아도, 스마트 변기가 건강을 살피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스마트 변기가 상용화되는 데 오래 걸릴까요?전 세계 비데 보급률을 보면 한국이 50%, 일본은 60~70% 정도로 높지만, 미국은 3%에 불과해요. 또한 한국에서 원격의료는 아직 불법이죠. ... ...
- 물리박사 김상욱의 수상한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적외선이 보이고, 병원에서는 엑스레이 사진이 찍히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햇빛 마을은 큰 혼란에 휩싸여요. 태리와 해나, 건우는 햇빛 마을에 일어나는 사건을 해결하고 김상욱 아저씨와 빛의 이데아에 숨겨진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까요? “과학자는 어린이의 호기심을 끝까지 지킨 사람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알아두면 이 구역 검색왕! 정보 검색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정보를 찾는 것이 좋겠지요. 한국관광공사 등 공공기관이나 대학 등 믿을 만한 연구소, 큰 방송국의 홈페이지나 동영상을 찾아보는 것도 좋아요. 개인 SNS나 커뮤니티의 게시물, 인터넷 위키 미디어 사전 등은 완전히 믿을 수 없어요. 커뮤니티는 보통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 ...
- [출동! 기자단] 탄소 제로 에너지를 체험하다! 수소 안전 뮤지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가스 밸브를 잠가 가스가 새어나오는 누출 사고를 막았죠. 휴대용 가스레인지보다 너무 큰 불판을 사용하면 불판이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한 열을 가둬 폭발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거든요. 지은유 독자 기자는 “게임으로 폭발과 화재 사고를 막아보니 뿌듯했다”고 말했습니다. 2050년은 수소에너지 ... ...
- [수학 한 입] 몬스터의 무게를 알아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찾으면 돼요. 그런데몬스터볼에 적힌 무게의 단위는 ‘톤(t)’이네요. t은 kg보다 더 큰 무게의 단위예요. 1t은 1000kg과 같으므로, 몬스터의 몸무게는 4t인 셈이에요! 3개의 몬스터볼에는 각각의 몬스터볼이 견딜 수 있는 무게의 범위가 적혀 있어요. 힌트를 보고, 몸무게가 4t인 이 몬스터를 가둘 수 있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 알차게 즐기는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실제 모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여행 중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여행 블로그, 여행 앱 등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여행자들의 평과 후기는 정보를 얻는 중요한 수단이에요. 다른 사람들의 경험과 조언을 통해 더 나은 여행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또한 현지 ... ...
- [출동, 슈퍼M] 레시피에 적힌 단위는 왜 제각각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의미로 들이가 약 15mL이고, t는 ‘1작은술’로 5mL예요. 레몬즙 15mL는 계량스푼으로 1큰술과 같아요. ☞ 3단계 : 들이가 클 때는 계량컵으로! 탄산수 300mL는 계랑스푼으로 재기에는 들이가 커요. 이럴 때는 계량스푼 대신 계량컵을 이용해요. 계량컵에 적힌 눈금에 맞춰 필요한 만큼의 액체를 ... ...
- 달 남극, 내후년엔 사람이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천이진 부장은 “달과 같이 극한 환경에서 행하는 연구는 인류의 기술 발전에 큰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어요. 목표는 달에서 자급자족? 달 남극에는 햇빛이 영원히 닿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이 있습니다. 이 지역은 평균 온도가 영하 180℃ 이하에 달할 정도로 추운데, 이 덕분에 물 분자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