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등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크리스프 교수는 논문에서 “동물의 진화가 단지 조상으로부터 내려 받은 유전자에 의해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증거”라며 “이런 과정은 여전히 진행 중일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전자 변형은 이미 수억 년 전부터 시작됐고, 지금 이 순간에도 일어나고 있다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식으로 질병을 치료한다. 자가치료 행동은 오래 전 우리 인류와 아프리카 대형 영장류 조상의 삶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의 인류학자 카렌 하디 박사팀이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를 2012년에 분석한 결과, 영양분이 거의 없는 쓴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온 유전자는 DNA의 복사, 전사, 번역에 관련된 것으로,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의 조상에 들어오기 이전에 도입된 것이다. 또 연구팀은 하나의 새로운 박테리아 DNA 그룹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들어와 골지체와 소포체 등 세포 내막의 형성에 참여한 것으로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집단을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haplogroup)’이라고 불렀다. 하플로그룹은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같은 돌연변이를 물려받은 집단이다(91쪽 박스 참조).1987년에는 전세계 각지에서 얻은 여성 147명의 미토콘드리아를 분석해 모든 현생 인류가 약 2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 살았던 한 여성의 자손이라는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도구를 스스로 몸에 장착했다.이들은 소리와 진동의 과학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조상에서 자손으로 이어지는 진화의 긴 터널 속에서그 원리를 깨쳤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미생물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의 겉모습만 보고 존재의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마뱀까지 렘 수면패턴을 보인다면, 이런 뇌 활동이 새, 포유류, 그리고 도마뱀의 공통조상 동물에서부터 이어받았을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한 가지 더. 그렇다면 파충류는 어떤 꿈을 꿀까. 맛있는 먹이를 먹는 꿈? 아니면 따뜻한 햇살 아래서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꿈?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배운 대로 돌을 깨서 원하는 형태의 뾰족한 돌을 만들어 보였다. 칸지는 우리의 옛 조상들이 돌을 깨서 뗀 석기를 만드는 기술을 렉시그램 언어를 통해 습득했다는 얘기다. 이뿐만이 아니다. 대부분의 하루를 숲 속과 실험실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칸지는, 아침에 숲으로 나가기 전에 연구진에게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또 다른 동물로는 육식공룡 테라토포네우스가 있다. 공룡의 왕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 격인 동물이다. 하지만 제아무리 무시무시한 티라노사우루스로 진화할 예정이라 해도 테라토포네우스의 몸집은 데이노수쿠스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데이노수쿠스의 식단에는 이 동물들이 모두 올라와 ... ...
- [과학뉴스] 어류와 사지동물의 ‘연결!’ ‘고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폭포의 벽을 기어 올라갔다.연구팀은 이 때문에 크립토토라 타미콜라가 사지동물과 같은 조상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플라망 교수는 “다른 어류에서는 볼 수 없는 요대(척추동물의 뒷다리가 척추와 결합한 골격의 일부)도 갖고 있었다”며 “어류가 사지동물로 진화했다는 증거를 발견한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닥에서 자라는 식물을 훑어먹기 편하도록 주둥이 끝이 납작해졌다. 더 나아가, 이들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뾰족한 이빨을 식물을 뜯는 데 적합한 나뭇잎 모양의 이빨로 바꿔버렸다. 갑옷공룡처럼 변해버린 이 노토수쿠스류가 바로 시모수쿠스다. 시모수쿠스는 노토수쿠스류와 갑옷공룡 사이의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