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선
space-shuttle
d라이브러리
"
우주왕복선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어땠을까. 현재 사고의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왼쪽날개의 손상부위가 있는
우주왕복선
의 아랫부분까지 이동해 사고의 심각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고, 최악의 우주사고를 막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챌린저호의 사고로 비행의 날개를 접은 MMU가 이번 컬럼비아호의 사고로 다시 ... ...
미 최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17년 전 1986년 1월 28일 발사 73초만에 공중 폭발해 우주개발사상 최대의 사고로 기록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사고의 가장 큰 원인제공자는 1월의 차가운 기온이었다. 우리나라 최초 액체로켓 KSR-Ⅲ의 경우에도 뜻하지 않은 강풍으로 발사를 하루 연기해야만 했다. 로켓은 통상 발사장 주변에 매초 1 ... ...
금융수학 카오스 경제에서 질서를 찾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로켓 과학자. 이름만 들어서는 우주 왕복선을 만들고 새로운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는 물리학자나 공학자 쯤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물론 이들의 대부분은 미 항공우주국(NASA)같은 연구소에서 차세대 로켓 연구로 맹활약을 떨치고 있다. 하지만 로켓 과학자가 세계 금융의 중심지인 뉴욕의 월가에도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명명했다. 율리시즈는 1986년 미국의
우주왕복선
에 실려 발사될 계획이었지만,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폭발하는 바람에 율리시즈의 출발은 무기 연기됐다. 율리시즈는 화물선에 실려 대서양을 3번씩이나 오고가는 고생을 한 후인 1990년에야 발사됐다. 율리시즈는 1994년 9월 태양의 남극으로부터 3억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겨우 1만7천7백달러가 든다고 계산했다. 1kg 당 1.5달러 정도가 소요되는 셈이다. 현재
우주왕복선
으로 1kg 당 2만2천달러가 드는 것에 비하면 엄청나게 싼 값이다. 만일 20kg의 화물을 가진 70kg의 승객이 우주엘리베이터에 탑승한다면 1백33달러(16만원) 정도만 지불하면 된다. 제주도 왕복비행기요금(20kg의 ... ...
2. 현재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연료의 효율이 매우 낮아 연료를 엄청나게 많이 싣고 가야 한다. 예를 들어 NASA의
우주왕복선
만 보더라도 전체 무게의 95%가 연료다. 하지만 최근에 적은 연료로 기존보다 더 빨리 갈 수 있는 엔진의 우주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마를 이용한 엔진이 주목받고 있다.플라스마는 물질의 새로운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다NASA와 NASDA(현 JAXA)가 공동으로 진행한
우주왕복선
유인 실험모듈 설치 및 우주실험 프로젝트 NASDA에서는 35개의 실험을, NASA에서는 7개의 실험을 지원하여 모두 44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18, 19세기는 오토마톤(Automaton)의 전성기였다 당시에는 '내부에 . ...
4. 사흘만에 10m 교량 뚝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추진비용을 절감하고, 구조물이 가벼워진 만큼 다른 측정장비를 추가할 수 있다.
우주왕복선
의 경우 무게를 1kg 가볍게 하면 전체 비용을 4천만원 정도 절약할 수 있고, 민간 항공기의 경우에는 1kg 경량화에 1백만원 정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때문에 항공·우주용 구조물이나 부품에 복합재료를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갈릴레오 탐사선을 1982년에 발사, 직항로를 따라 1985년에 도착시킬 계획이었다. 그런데
우주왕복선
과 발사로켓의 문제, 설계 변경 등 내우외환이 겹쳐 계획이 여러번 연기되다 1989년에야 탐사선이 발사됐다. 또 발사로켓의 추진력이 부족해 우회로를 택하다보니 비행시간은 계획의 2배인 6년이나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관측 외에는 모두 취소됐다.두번째는 발사체의 문제였다. 1986년 챌린저호의 폭발사고로
우주왕복선
을 이용한 발사조건은 엄격해졌고, 금성까지 탐사선을 안내할 강력한 액체로켓이 문제로 대두됐다. 결국 안전 때문에 성능이 나쁜 고체로켓으로 대체됐고 비행시간은 1.5배로 늘어났다. 이 와중에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