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선
space-shuttle
뉴스
[스페이스버드]⑫ 버스, 기차, 비행기처럼…우주에서도 필요한 안전한 수송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9.09
연료가 두 배로 필요할 텐데 어떻게 하느냐”고 질문하자 현성윤 과장은 “처음부터
우주왕복선
이 지구로 돌아올 때까지 필요한 연료의 양을 모두 계산해서 넣는다”고 답했다. 이어 현 과장은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9처럼 재사용할 수 있는 발사체가 상용화된다면 개발 비용도 줄어들 것”이라고 ... ...
[사이언스게시판] APEC 청소년 과학자들, 한국에서 기후 해법 함께 그리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국제융합학술대회의 기조강연 참석 일정과 연계해 성사됐다. 멜로이 전 부국장은
우주왕복선
을 지휘한 세계 단 두 명의 여성 중 한 명이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 38일 이상 체류하며 인류 우주탐사의 최전선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여성 과학자다. 5000시간 이상의 비행경력을 가진 공군 조종사 ... ...
트럼프·머스크 갈등 비화…美 정부, 스페이스X 대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8
이 우주선이 퇴역된다면 미국은 러시아에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이 된다. 미국은 2011년
우주왕복선
3대를 퇴역시킨 후 ISS로 우주인을 보낼 수 있는 성능을 갖춘 우주선이 없어 10년 가까이 러시아가 발사하는 소유즈 우주선을 이용해왔다. 크루 드래건은 NASA 임무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을 지구 ... ...
NASA, 여성·유색인종 달착륙 계획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밟은 12명은 모두 36∼47세 사이의 백인 남성이었다. 미국 최초의 여성 우주인은 1983년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를 타고 비행한 샐리 라이드였고, 첫 흑인 우주인은 같은해 말 챌린저호에서 임무를 수행한 기온 블루포드였다. NASA는 2022년 11월 무인 달 궤도선 아르테미스 1호를 쏘아 올린 데 이어 2026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두차례 미뤄진 '아르테미스'...NASA, 9월 3차 발사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시간) SLS 발사 연기의 원인을 분석하며 “이번 발사 연기는 NASA가 1981년과 2011년 사이에
우주왕복선
을 날렸을 때 발생한 연료 누출 문제를 떠올리게 한다”고 밝혔다. 수소 연료 누출이 발사 지연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NASA가 수소 연료를 고수하는 것은 로켓 추진제로서 가볍고 ... ...
인류 달 복귀 첫발 '아르테미스' 오늘 밤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역사상 최초의 여성 우주인을 포함한 4명의 인류를 달에 보낸다. 이 과정에서 SLS는 유인
우주왕복선
‘오리온’을 포함해 달 탐사용 로버 '바이퍼' 등 탑재체를 우주로 쏘아 올리는 역할을 한다. NASA는 아르테미스 미션을 달 우주 정거장과 달 기지 구축, 최종적으로는 화성 유인 탐사로 이어지는 ... ...
50여년만에 달 향하는 인류...29일 '서막' 열린다
2022.08.26
역사상 최초의 여성 우주인을 포함한 4명의 인류를 달에 보낸다. 이 과정에서 SLS는 유인
우주왕복선
‘오리온’을 포함해 달 탐사용 로버 '바이퍼' 등 탑재체를 우주로 쏘아 올리는 역할을 한다. NASA는 아르테미스 미션을 달 우주 정거장과 달 기지 구축, 최종적으로는 화성 유인 탐사로 이어지는 ... ...
[우주산업 리포트]항우연 원장은 왜 세계 6위 우주 선진국 인도와 격차가 크다고 했을까
2022.07.01
비슷한 모양의 재사용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과거 미국과 소련이 개발한
우주왕복선
이 로켓의 1단 부스터의 등에 매달린 모습으로 발사됐다면, 인도가 개발 중인 우주선은 일반 로켓의 2단 부스터와 동일하게 1단 부스터 위에 붙어있도록 설계됐다. 현재 개발 중인 모델은 4톤 정도 무게의 작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사]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비행사 첫 탑승!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1호
지상 약 400km 높이의 지구 궤도에는 축구장만한 크기의 구조물이 시속 2만 7743km의 속도로 돌고 있습니다. 각종 실험과 우주 탐사를 위한 기지 역할을 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지요. 1998년 건설된 이후 지금까지 20개국 출신 우주인 250명이 ISS를 거쳐 갔습니다. ISS에 우주인이 처음 입성한 건 2000년 1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도중 선체의 결함으로 인해 파괴되었다. 미국의 우주 스타트업인 아웃포스트(Outpost)는
우주왕복선
등이 지구로 잘 돌아오기 위한 해법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는 회사다. 지금까지 우주 비행체나 인공위성은 대부분 일회용으로 만들어졌다. 특히 저궤도 위성은 수명이 다했을 때 지구 ... ...
기어코 찾아올 죽음을 위한 궁리, ‘곱게 죽는’ 법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유명 SF 시리즈 ‘스타트렉’의 원작자 진 로덴베리의 유골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
콜롬비아 호에 실어 보냈다 다시 가지고 온 것이 처음이었죠. 최근엔 발사체를 만들어 우주에 쏘아올리는 민간 업체가 많아지면서, 우주장은 뉴스페이스 시대 새로운 장례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수 있는 대형 로봇팔은 우주정거장의 조립과 화물 보급, 부품수리 및 교체, 그리고
우주왕복선
의 도킹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대체불가능한 역할을 맡는다. 1989년, 비교적 늦은 시기에 설립된 CSA가 NASA, 유럽 우주국(ESA) 등과의 협업에서 무시 못할 위치를 차지하는 비결도 여기에 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최설안 기자, 우주항공청에 대해 알아보다!
기사
l
20250908
조금 어려워서 시간안에 만들지 못했어요ㅜㅠ 그대신 집에 와서 열심히 만들었답니다! (사진2) 직접 만든
우주왕복선
모형 사진
우주왕복선
모형을 만드는 체험시간이 끝나고, 우주항공청 최승철 교수님의 본격적인 강연이 시작되었습니다. 강연은 크게 3가지 카테고리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카테고리별로 최대한 알기 쉽게 강연을 정리해드릴께요! ...
[우주 기자단] 우주항공청 현성윤 선생님의 멋진 강연을 듣고..
기사
l
20250831
안녕하세요! 저는 춤추고 노래하는 로봇공학자가 꿈인 이현서 기자 입니다. 6학년이기 때문에 마지막 현장미션인데다, 로봇대회때문에 신청조차 못하다가 기회가 와서 정말 너무너무 기뻤습니다! 게다가 평소 꼭 참여하고 싶었던 KASA의 현장미션이었고, 특히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우주수송 분야라니!! 8월 29일 금요일. 대망의 마지막 현장 미션을 하 ...
우주야, 대한민국을 받아줘! 우주항공청 1차 현장미션!
기사
l
20250830
우주왕복선
미션의 우주비행사 마우리치오 켈리의 특별강연에 참석하여 처음으로 진짜 우주인을 만났었던 적이 있습니다.
우주왕복선
을 만든 뒤, 우주항공청 관계자 이신 최승철 과장님의 강연이 있었습니다. 강연의 제목은 '우리나라 우주 주역이 되어주실래요?' 였습니다. 여러분은 우리와 우주가 얼마나 떨어져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우주는 우 ...
[우주기자단] 우주항공청 최승철 과장님의 강연을 듣고
기사
l
20250830
받았습니다. / 직접 촬영 동아일보 본사에 가서 정말 뜻깊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 10층에 벽에 있는 동아일보 로고 / 직접 촬영
우주왕복선
미션을 하면서 각자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강연을 들으며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역사와 우주항공청의 역할을 쉽고 재밌게 알 수 있었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 벌써 끝나서 아쉽기도 했지만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 우주항공청의 미래
기사
l
20250829
입체 퍼즐 만들기에서 어린이기자단들은 20분 동안 각자의
우주왕복선
을 제작하고 고유의 이름과 임무를 부여했습니다. 저는
우주왕복선
을 'Lunar Helium-3호'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우주기자단 미션에도 있었던 내용이라 쉽게 생각할 수 있었는데요. 달에 있는 헬륨-3를 채집하는 것이 목표였기에, 우주선에는 지구에 많지 않은 헬륨-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