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뿌리"(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동그라미 모양의 숫자 ‘0’, 그 뿌리는 3세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바빌로니아인은 숫자 0을 막대 위에 역삼각형을 그린 모양으로, 마야인은 조개껍질 모양으로 나타냈습니다. 그렇다면 동그라미 모양의 숫자 ‘0’은 언제 등장했을까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보들리안도서관 연구팀은 점 중앙에 작은 구멍이 뚫린 모양새를 가진 ‘0’이 적힌 인도 기록물인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MMP1)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좋았다. 노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코오롱생명과학에 기술을 이전하고 피부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세영 교수는 “앞으로는 바르는 화장품에서 먹는 화장품으로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단에게 조금이라도 더 자주, 더 많이 바다를 탐구하게 했다. 괴상한 모양의 뿌리와 씨앗이 인상적인 맹그로브 숲 탐방, 산호초의 보호막인 잘피밭 관찰 등 과학적인 탐험도 계속됐다. 최 기지대장은 “육지에서 내려오는 흙이나 오염을 맹그로브가 1차로, 잘피밭이 2차로 걸러줘깨끗하고 투명한 ... ...
- Part 1. 채소왕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시금치는 나물로 먹어야 좋다?!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시금치를 끓는 물에 데친 뒤 마늘, 참기름 등과 버무려 나물로 만들어 먹어요. 반면 외국에서는 시금치를 익히지 않고 먹기도 한답니다. 샐러드로 만들어 먹거나, 잘게 빻은 뒤 기름과 섞어서 페스토 소스로 만들곤 하지요.이처럼 시금치로 다양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용액’을 개발했어요. 그 다음, 이를 시금치의 잎사귀에 발랐답니다. 시금치 뿌리가 TNT가 섞인 물을 잎사귀로 전달할 거라고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스마트폰에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도 만들었답니다.실험 결과, 폭발물이 있는 곳에 심어진 시금치는 잎사귀에서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완화하고 눈보라 등을 견디게 돕는다. 이처럼 다양한 역할을 하는 털은 피부 표면에 뿌리를 박고 있기 때문에 피부 구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피부 표면을 뚫고 나와 우리가 흔히 털이라 부르는 부위의 생물학적 명칭은 ‘모간(毛幹)’이다. 모간은 상피세포에 발달한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가짜를 없애면 된다. 과거는 이미 흘러가 버렸지만 마치 겉으로 보이지 않는 나무의 뿌리처럼 나를 지배하며 생각의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각자 살아온 과거의 삶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은 저마다 다른 생각을 하며 그것이 옳다고 인식한다. 필자는 이와 관련해 2016년 ‘소아간호학저널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관한 지식이 암호와 어우러져 소설, 영화 모두 흥행에 성공했어요. 이정명 작가의 ‘뿌리깊은 나무’나 ‘천국의 소년’, 이선영 작가의 ‘천년의 침묵’ 같은 국내소설에도 마방진이나 피타고라스 등이 나오니 수학을 좋아하는 독자가 재미있게 읽을 만한 책이죠. 잡학 박사: 다빈치 코드의 작가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탄생한 배경을 들어봤다. “화분을 ‘식물이 입는 옷’이라고 여기는 북유럽 사람들은 뿌리가 담긴 화분을 감싸는 바깥 화분을 따로 써요. ‘컨테이너 화분’이라고 부르지요. 바깥 화분인 피렌체 화분은 이런 컨테이너 화분이라고 볼 수 있어요. 화분 받침의 벽이 화분 위까지 올라왔다고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어느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을 이루는 돌은 안쪽으로 뿌리가 길게 뻗어 있어 무게 중심이 안쪽에 위치해 쉽게 붕괴되지 않았다. 첨성대에서 가장 놀라운 점은 지진파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무게추’가 달렸다는 것이다. 현대 건축물에는 지진에 대응하기 위해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