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뿌리"(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가 식물에 숨겨진 탄소 저장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등이 있지요. 얕은 바닷속에는 ‘잘피’라 불리는 해초들이 살아요. 잘피는 물속 흙에 뿌리를 내리고 양분을 흡수하는 바다 식물로, 해조류인 미역과 다시마와는 달라요. 잘피류는 바닷속 숲을 이루면서 탄소를 흡수하는 동시에, 다양한 어류의 집도 되어준답니다. ● “ 우리나라 염생 ... ...
- [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식물’로도 불린답니다. 그렇다면 식충식물은 왜 곤충을 잡아먹을까요? 식물은 대개 뿌리를 통해 성장에 필요한 질소와 인 같은 영양분을 얻어요. 그런데 식충식물 대부분은 땅이 항상 물에 잠겨 있는 습지대에서 살아요. 이런 곳에는 식물에게 필요한 형태의 질소가 부족해요. 식물이 흡수할 수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름은 공통적으로 ‘빛나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칸델라(Cande⁻la)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하지만 19세기까지도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양초를 광도의 기준으로 삼았다. 일본은 촛불 한 개의 밝기를 ‘1촉(燭)’이라 정의한 반면, 영국은 향유고래기름에 밀랍을 섞어 만든 양초가 시간 당 약 7.78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날씨 속에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기 위해 열무나 오이 물김치를 담습니다. 가을에는 뿌리가 통통한 쪽파김치가 맛있고, 겨울에는 오랫동안 저장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양념이 많이 들어간 김장김치가 최고입니다. 이번 호에는 배추김치를 준비했습니다. 겨울철 김장김치는 고랭지 배추를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바꿀 수 있다. 뿌리혹세균은 질소 자원인 암모니아를 식물에 제공하는 댓가로 콩 뿌리에서 공생한다. 실제로는 동물도 다양한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는 소와 같은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식물 속 셀룰로오스를 분해해 당분을 얻는다. 하지만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느티나무도 살고 있지요. 아파트 단지에 지하가 개발되지 않은 덕분에 나무가 뿌리를 깊숙이 내리고,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었던 거예요. 이렇게 크고 오래된 수목에는 산림에만 사는 조류도 터를 잡았답니다. 도시공원 생물종을 모두 조사한다! 도시공원에 어떤 생물이 살고 있는지 알아내고 ... ...
- 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계속 자라 뿌리와 기둥이 굵어지면서 오히려 보호덮개가 성장을 방해하는 거예요. 특히 뿌리가 땅 위로 돌출하며 자라는 아까시나무, 버드나무 등은 피해가 더 크지요. 서울시립대학교 한봉호 교수는 “가로수종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종류의 보호덮개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또 2015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뿌리에서 쥐 오줌 냄새가 나는 쥐오줌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올라오지요. 8월까지 꽃이 피다가 지면, 곧장 뾰족하게 생긴 열매를 맺어요. 쥐오줌풀의 뿌리는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능으로 유명해요. 유럽에선 진통제로, 우리나라에선 신경과민과 신경쇠약 등을 치료하는 데 썼답니다 ... ...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캡슐처럼 만들어 그 안에 포자를 집어넣었다”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인공 뿌리 형태로 바꿨다”고 말했다. 울랄라 팀은 예선 이후 본선까지 두 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노벨상 바라보는 세계적 과학자로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토양은 여러 생물의 서식지다. 토양은 물질과 에너지가 순환하도록 하며 식물은 뿌리를 통해 토양으로부터 생장에 필요한 물질을 얻는다. 그리고 토양 속에 사는 세균과 곰팡이는 동식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분해해 다시 토양으로 돌려보낸다. 토양의 깊이에 따라 공기의 함량이 다르며, 이에 따라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