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바닷물
에 강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결정.고대 로마인들은 석회와 화산재를 섞어서 콘크리트를 만들었는데, 화산재 성분이
바닷물
과 만나면 알루미늄 결정이 만들어져요. 결정이 생긴 콘크리트는 이전보다 더 단단해진답니다. 덕분에 로마 건축물은 지금까지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요.연구를 이끈 마리 잭슨 교수는 “앞으로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빙하가 마치 피눈물을 흘리는 듯하다”1911년, 영국의 남극탐험대 연구원이던 그리피스 테일러는 새하얀 빙하의 끝자락에서 새빨간 물이 흘러나오는 걸 보고 위 ... 빙하 속 지형의 깊이를 알아냈지요. 그 결과 피의 폭포에서 최대 45m 떨어진 곳까지
바닷물
이 있단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역할을 하지요. 힘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바닷물
이 물결치듯 움직이는 파동이 생길 뿐,
바닷물
자체가 이동하지는 않아요. 이 때문에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타고 파도에 몸을 맡기면 위아래로 출렁거리지만 해변으로 밀려가지는 않아요.반면 인공 파도풀은 물이 직접 이동해요. 그래서 구명조끼를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동물처럼 방수 능력이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는 않아요. 깃털이 물에 잘 젖기 때문에
바닷물
에서 나오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깃털을 말려야 해요. 그래서 갈라파고스 섬 해변에서는 제가 태양을 향해 양쪽 날개를 펴고, 물기를 말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지요.어떻게 날지 못하게 된 거니?미국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1세기 말에는
바닷물
의 pH가 0.2~0.4 정도 더 낮아질 것으로 보여요.
바닷물
의 pH가 내려가면서 해양생물들의 삶이 위협받고 있어요. 많은 해양생물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만 해도 산성화로 인해 껍데기가 잘 만들어지지 않아 성장과 발달에 장애를 겪고 있거든요. 해양 산성화로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해빈 커습은 보통 모래나 자갈이 많은 해안가에서 폭풍우가 몰아친 뒤에 나타나요.
바닷물
이 해변에 부딪히면 움푹 들어간 곳에서부터 볼록 나와 있는 지점으로 물이 모이죠. 그렇게 모인 물은 수직방향으로 다시 바다를 향해 흘러나간답니다(위 사진 화살표).해빈 커습은 세계 곳곳의 해변에서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이 바다에 수소 분자도 다량 들어있다는 사실을 추가로 밝혔다. 연구팀은 뜨거운 내부
바닷물
이 암석에 있는 유기물질과 상호작용해 수소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구의 심해 열수구와 유사한 환경이다. 연구팀은 빛 대신 화합물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이 ... ...
[교과연계수업] 작을수록 더 위험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퍼져나갈 수 있어요. 그래서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영향을 적게 받는 북극이나 남극
바닷물
에서도 나오고, 사람 활동이 전혀 없는 섬 주변에서도 발견되고 있지요. 하지만 눈에 잘 띄지는 않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미세 플라스틱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답니다. 그럼 이런 ... ...
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현장에는 4만t만 있었지요.● 바다 소용돌이 지역 : 태평양과 대서양 등 오대양 지역에서
바닷물
이 원을 그리듯 모이는 지역.환경운동가 마르쿠스 에릭슨 박사도 비슷한 연구를 했어요. 2007년부터 6년 동안 길이 22m의 작은 배를 타고 전세계 바다를 항해하며 해양 쓰레기가 얼마나 많은지 측정했어요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연구원은 해양 물리학에 대해 소개하며 “해양물리학은
바닷물
이 어디에서 흘러오고 어디로 흘러가며, 흐르는 도중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밝히는 학문”이라며 “이에 따라 기후는 물론 생태계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고 말했다. 나 연구원은 또 “어릴 적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