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수
d라이브러리
"
과일나무
"(으)로 총 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번에는 직접 붓을 들고 색을 칠해보자.화면 2-5. 붓으로 직접 색을 칠하고 싶다면
과일나무
를 누른다. 울긋불긋한 색깔의 과일로 둘러싼 공간에 선으로만 표시된 과일그림이 나타날 것이다.화면 2-6. 둘러싼 과일 중 원하는 색깔을 누르면 색깔 이름을 알려준다. 그런 다음 가운데 과일 그림에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서울의 '놀고 있는' 땅을 일구는 시민이 의외로 많다. 이미 뿌리내린 텃밭문화를 활성화시켜 서울 환경을 회복하자.서울시는 최근 마을에 방치돼 있는 소규모 시유지나 잡종지를 시민들이 휴식할 수 있는 소공원 형태의 마을마당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한 가족농원 주말농장 등이 서울시민에게 ... ...
물리- 물레방아 이용한 간이수력발전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밥도 해주고 TV도 보게 해 주는 전기. 우리손으로 직접 전기를 만들어보자. 번개 칠 때 나무밑이 위험한 이유도 생각해보자.전기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이탈리아의 해부학자 갈바니는 철판 위에서 개구리 해부실험을 하다 청동해부침을 꽂은 개구리의 다리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보고 ... ...
'남아선호'의 온상 침팬지 마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호기심 많고 협동심 강한 영리한 동물 침팬지는 직계자손을 늘리려고 다른 새끼를 죽이는 행동도 서슴지 않는다.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사람들은 보통 원숭이나 고릴라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사실은 침팬지다. 침팬지 유전자의 99% 정도가 인간 유전자와 동일하다. 어떤 사 ... ...
성경 속의 식물이름, 잘못 번역된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여기에서 종려나무는 대추야자나무를 가리킨다. 대추야자나무는 당시 지역에서 자라는
과일나무
중에서 가장 오래된 수종의 하나이며 4천년 전 재배한 출토품이 있다.이스라엘 사람들은 오랫동안 풀 한 포기 없는 사막을 건너 대추야자나무의 숲이 있는 엘림이란 오아시스에 이르렀다. 엘림이란 ... ...
황금 원숭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중국에 서식하는 희귀종 동물로 팬더만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황금 원숭이의 존재는 생소하기만 할 것이다. 그러나 황금 원숭이는 중국정부가 팬더만큼이나 관심을 가지고 보호하고 있는 또다른 희귀동물이다. 중국을 대표하는 동물로 많은 사람들은 팬더를 꼽는다. 중국이 미국과 국교를 수립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인간은 영장류에 속하는 젖먹이 동물이다. 영장류는 중생대 말기 약 6천3백만년 전 공룡이 멸종하고 난 후 나타나기 시작해 약 3천5백만년 전부터는 다양한 형태로 진화된다. 인류의 머나먼 조상은 약 2천3백만년 전 마이오세가 시작되고 영장류들이 급격히 번성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다. 그러나 직 ... ...
1800m 카메룬 고원의 차밭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말레이반도 중앙에 있는 해발 1천8백m의 카메룬 고원은 매우 온화한 기후를 가진 곳이다. 이곳에서는 1년에 4백만㎏에 달하는 양의 차(茶)가 생산되고 있다.말레이반도 중앙에 위치한 카메룬 고원은 인접한 겐팅 고원과 함께 말레이시아 내에서도 손꼽히는 고원 휴양지다. 전형적인 열대우림 기후를 ... ...
생물- 포도껍질로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요즘에는 다양한 화학염료들이 개발돼 옷감들의 색깔도 그만큼 다양해졌지만 화학염료가 없던 옛날에는 봉숭아꽃 치자열매 밤송이 민들레꽃 양파껍질 과일껍질 등 자연속의 색깔을 많이 이용했습니다. 화학염료에서 느낄 수 없는 자연느낌을 자연색 물들이기 실험을 통해 느껴 봅시다.손톱에 봉 ... ...
먹을 것 구하기 위해 두뇌 발달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는 영장류에게 열대림은 쉽사리 먹을 것을 얻을 수 있는 장소로 여겨진다. 그러나 풍부하게 널려 있는 잎사귀들은 섬유질이 많아 소화하기 어렵고, 당분이 많은 과일은 넓은 숲 속에 흩어져 있어 찾기가 쉽지 않다.영장류 중에는 소화관을 소처럼 특수화시켜 연중 언제라도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