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
한천
동계
동기
동절
d라이브러리
"
겨울철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무사히 살아남을 수 있다.얼음이 물보다 밀도가 낮아서 생기는 특이한 자연현상도 있다.
겨울철
밖에 내놓은 물에서 송곳처럼 거꾸로 솟아있는 얼음, 아이스 스파이크(과학동아 2010년 1월호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참조)가 그 예다.물에 가라앉는 얼음 종류가 더 많다하지만 모든 얼음이 다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게 만들어져 있다. [생각 넓히기] 다음 현상을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설명해 보자. “
겨울철
눈으로 덮인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자동차가 출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천재교육, 물리1 교과서 중- [생각 넓히기] 지구의 궤도와 혜성의 궤도가 만나는 곳에서는 혜성이 남기고 간 물질들이 지구의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관측 이래 22년 만에 4월 중 가장 늦게 내린 눈으로 섬은 온통 적막에 휩싸였다. 홍도는
겨울철
에도 항상 푸른 잎의 상록수 숲으로 우거질 만큼 날씨가 온화하다.1965년 4월 7일 홍도는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 170호로 지정됐다. 해안을 따라 펼쳐진 홍도 33경은 어떤 뛰어난 조각가도 흉내 낼 수 없다는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히트펌프는 온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열을 이동시켜 주는 장치이다. 특히
겨울철
에는 온도가 낮은 건물의 밖에서 열을 뽑아 실내로 이동시켜 난방을 하게 되는데, 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땅과 물에서 열을 뽑으면 훨씬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영하 1℃의 바깥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있습니다. 북반구를 꽁꽁 얼게 만든 찬 공기를 찾기 위해서지요.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겨울철
에 시베리아 대륙의 찬 공기 덩어리가 발달하면서 춥고 건조한 기후가 이어집니다. 보통은 시베리아 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이 세력을 주고받으며, 며칠은 춥고 며칠은 풀리기를 반복하지요.그런데 이번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방전’이라고 한다. 이때 사람 손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면서 따끔함을 느끼는 것이다.
겨울철
자동차 문을 만질 때 따끔해지는 이유는 우리 옷이나 신체에 모인 정전기가 전기가 잘 통하는 자동차 문을 통해 순간적으로 지면으로 흐르면서 방전되는 현상 때문이다.도체 내부는 안전한 이유정전기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증기가 이슬이 되어 맺히다가 얼어붙는다. ▲
겨울철
서리의 모습. 서리는 영하의 추운
겨울철
수증기가 이슬이 되어 땅에 내렸다가 얼어붙어 생기는 것이다. 서리가 생길 때의 기온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서리가 생길 수 있다.예술이 된 얼음너무 추워~! 이번엔 날 또 어디로 데려온 거야?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독특한 기상 현상이 일어난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겨울철
에 10회 정도 발생하는 한파 가운데 약 30%는 북극진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과학동아 2005년 6월호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참조).그렇다면 이러한 북극진동 자체는 예측이 가능한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영조 때 서북지방의 군사들이
겨울철
에 종이를 넣어 만든 옷인 지의(紙衣)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두 번째 효과는 한지의 마찰력에서 비롯된다. 표면이 거친 한지 위에 솜을 두면 굳이 누비거나 사이사이를 꿰매 고정하지 않아도 솜이 옷감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번성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대구가 엄청난 개체 수를 자랑하던 때가 있었다. 과거에는
겨울철
만 되면 대량으로 잡혀 남해안의 어시장이 대구로 넘쳐나곤 했다.그러나 대구도 다른 물고기들과 마찬가지로 남획의 운명을 피해갈 수 없었다. 해마다 어획량이 줄기 시작하더니 1993년에는 아예 씨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