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
한천
동계
동기
동절
d라이브러리
"
겨울철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죽일 수 있는 미생물은 다양하다. 세균을 비롯해 곰팡이와 바이러스까지도 없앨 수 있다.
겨울철
식중독의 원인인 노로 바이러스도 죽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세균은 0.01ppm의 저농도 오존수에서 1분간 세척하면 대부분 사멸한다. 바이러스도 1ppm의 오존수에서 1분간 세척하면 99%가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소산의 토양은 산화철이 많이 포함돼 있어 붉은색을 띠며, 검은 화산재도 많다.
겨울철
기온이 약 영하 10℃인 정상 근처에는 바람도 세차게 분다. 이런 바람의 방향대로 나뭇가지에서리가 얼어붙어 있다. 아소산의 분화구는 둘레가 128㎞나 되는 거대한산이 둘러싸고 있다. 바깥 측면의 경사는 ... ...
추운 겨울 따뜻하게 보내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만들었다. 최초의 체감온도 계산식이다.사이플과 파셀이 만든 체감온도 계산식은 당시
겨울철
야외활동과 군 작전 훈련에 널리 쓰였다. 그러나 물이 어는 것을 피부의 열손실에 적용했다는 점과 이 계산식으로 체감온도를 구하면 과장된 값이 나온다는 점 때문에 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
[교과연계수업] 추운 겨울, 체감온도 높이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만들었다. 최초의 체감온도 계산식이다.사이플과 파셀이 만든 체감온도 계산식은 당시
겨울철
야외활동과 군 작전 훈련에 널리 쓰였다. 그러나 물이 어는 것을 피부의 열손실에 적용했다는 점과 이 계산식으로 체감온도를 구하면 과장된 값이 나온다는 점 때문에 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
밀착취재 반갑다 철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만나러 간다고 합니다. 마침 저기 거대한 독수리들이 있는 우리가 있네요!안녕하세요.
겨울철
새 독수리입니다. 날개를 펴면 총길이 2m가 넘는 거대한 몸집이지만 무서워할 필요는 없어요. 저는 살아 있는 생물체는 잘 잡아먹지 않거든요. 날개를 쭉 펴고 날면서 동물의 사체를 찾아 먹죠. 용맹하게 ... ...
콜록콜록 바이러스 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추운 남극에는 감기가 없다고?날씨가 추우면 감기에 더 잘 걸리게 되죠? 환절기는 물론,
겨울철
에 온도 변화가 심하거나 기온이 떨어지면 인체의 면역체계가 활발하게 활동을 하지 못해서 감기에 잘 걸리게 되는 거예요.그렇다면 일 년 내내 춥기만한 남극에서는 감기에 더 잘 걸릴 까요? 놀랍게도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이유래. 명태는 주로 수온이 10~12℃ 정도의 물에서 생활하는데, 1968년부터 2008년까지
겨울철
바다 표면의 수온이 약 9℃에서 11℃ 정도까지 높아진 걸 보면 좀 더 시원한 물을 찾아 북쪽으로 올라간 것 같아. 대신 명태가 사라진 가을 바다는 여름 바다를 주름잡던 나, 오징어가 찾아왔지! 내 친구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시스템은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겨울에 채취한 얼음을 저장해 두었던 ‘석빙고’는
겨울철
에 차가운 바람이 입구의 벽에 부딪혀 내부로 들어가도록 했다. 천장은 아치형으로 만들어 더운 공기가 모이게 했고 습기를 빼내는 배수로와, 석회와 진흙으로 만든 방수층, 밀집과 톱밥을 이용한 단열재를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멘톨은 탄소 10개로 이뤄진 분자다. 계피를 우려낸 물에 곶감을 넣고 잣을 띄워 먹는
겨울철
별미 수정과가 제 맛을 내려면 생강이 꼭 들어가야 한다. 생강 특유의 시원하면서도 매운 맛은 ‘진지베렌’이라는 분자에서 온다. 진지베렌은 탄소 15개로 이뤄진 분자다.‘비타민A’가 결핍되면 밤에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무사히 살아남을 수 있다.얼음이 물보다 밀도가 낮아서 생기는 특이한 자연현상도 있다.
겨울철
밖에 내놓은 물에서 송곳처럼 거꾸로 솟아있는 얼음, 아이스 스파이크(과학동아 2010년 1월호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참조)가 그 예다.물에 가라앉는 얼음 종류가 더 많다하지만 모든 얼음이 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