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d라이브러리
"
초소형
"(으)로 총 271건 검색되었습니다.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01
지배하는 나노세계를 보다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나노기술이며, 이를 통해 초지능·
초소형
컴퓨터가 가능한 것이다.몸속에서 수술하는 나노로봇나노기술은 의료분야에서도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것은 백혈구보다 작게 제작돼 혈관 속을 돌아다니며 병균이 침입했을 때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11
마이크로칩이 컴퓨터와 전자공학 분야에 일대 혁명을 가져온 것처럼 화학에서 이러한
초소형
장치가 분석과 합성에도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생의학 분석화학은 첨단 기기 분석 방법의 개발을 통해 오염된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생명의 신비를 캐는데 이용될 수 있는 ... ...
나노세계 조작하는 첨단의 손 원자현미경
과학동아
l
200110
1982년에 태어나 오늘날의 나노세계를 연 원자현미경.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어 제3세대 현미경으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현미경과는 차원이 다르다.원자수준으로 물질을 보는 것은 물론 원자와 분자를 조작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이다.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10
구조를 직접 만들어서 어떤 물리적인 현상을 보이는지 동시에 관찰할 수 있게 됐다. SPM은
초소형
로봇인 셈이다.하드디스크의 자기정보 관찰이 외에도 SPM은 종류에 따라 자기장, 전기장, 마찰력, 온도, 그리고 경도 등 물질 표면의 다른 여러 특성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STM과 AFM의 기능을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07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적은 전력으로도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초소형
메모리소자가 필요한 이유다. 이런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메모리소자가 바로 강유전체다.30nm로 쓰고 읽는데 성공 도대체 무엇을 강유전체라 부르는 것일까. 강유전체는 전하가 자발적으로 분리돼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06
시도되고 있다. 병원 안가고 진료받는다최근 집적회로(IC)기술을 이용해 바이오센서는
초소형
화되며, 신호의 검출과 증폭, 그리고 처리를 한꺼번에 할 수 있도록 다기능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생선과 육류의 신선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선보이고 있다. 주정공장에서 출하되는 술의 성분을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06
방사광 가속기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단백질처럼 미세구조를 규명하고자 하거나
초소형
기계부품을 제작하는데 유용하다.암치료에도 동원한편 충돌형 가속기나 방사광 가속기와는 달리 소규모 가속기도 있다. 병원의 암치료용 가속기가 그 예다. 이 가속기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방사선 치료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05
등의 각 분야별로 따로 발전돼온 학문과 기술이
초소형
항공기라는 주제 하에 어우러져 시너지 효과는 물론 각 분야별로 답보 상태에 있는 부분에 돌파구를 제시해 줄 것이다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04
생체모방형 센서와 제어기술을 통해 시제품을 개발하고, 이러한 기술을 홈로봇이나
초소형
무인비행체 등 실제 시스템에 응용하고 있다. 1994년부터 5년간 네다리, 그리고 두팔과 두손을 갖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반인반마의 모습을 한 센토라는 로봇을 개발에 참여했다.사람대신 로봇이 일을 하기 ...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
과학동아
l
200104
20년 간 전체를 보는 눈을 길렀다는 것이 자신의 강점이라고 말하는 박단장은 지금도
초소형
정밀 기계를 공부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석사 때의 지도교수로부터 꼼꼼하게 시스템 전체를 보는 눈과 겸손함을 배웠다고 강조했다.“곽병만 교수님은 항상 생각을 머리로 하지말고 연필로 하라고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