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실
분실
loss
roast
ross
rosse
d라이브러리
"
로스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08
이밖에 테니스 하키 등도 젊은이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럭비도 잘 하는데, 국가대표팀인 '
로스
퓨마' 팀은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다. 아르헨티나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운동선수는 마라도나와 여자테니스선수인 가브리엘라 사바티니다.종교의 자유는 보장돼 있으나 국민 대다수는 카톨릭 신자다.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07
받았다. 인슐린과 수용체의 결합 이후의 세포내 과정은 1980년대 카스가, 칸,
로스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맹렬히 추구되고 많은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 흥미로운 분야는 또하나의 노벨상을 기다리는 미지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글루카곤과 협조체제를 이뤄인슐린은 앞의 민코브스키 실험에서 ... ...
「피슈바하」의 도전장 제5의 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003
설명하려고 한 시도는 그동안 많은 물리학자들에 의해 이뤄졌다.그 예의 하나로
로스
알라모스 연구소의 '니토'교수와 그 공동연구자가 제안한 이론이 있다.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려면 먼저 몇가지 개념들을 머리에 담고 있어야 한다.고전물리학은 양자물리학에 대응되는 학문인데 모든 자연현상이 ... ...
남극 에레버스 화산의 분출물 오존층 파괴의 주범일 수도
과학동아
l
199002
제기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에레버스(Erebus) 화산의 위치는 미국 맥머드 기지가 있는
로스
섬.에레버스산의 분화구에서는 아주 미세한 순금의 분진이 눈덮인 남극대륙으로 내뿜어지고 있다는 것. 이 결정들은 너무 미세하고 멀리 퍼져 금덩어리로 모으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나 대기를 이용해 ... ...
PARTⅠ풍력발전
과학동아
l
199001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최근에는 풍차날개가 하나뿐인 특이한 형태의 7백KW급 '모노프테
로스
'(Monopteros) 풍력발전기가 개발되고 있다.한편 일본에서도 '선샤인'(Sunshine) 사업과 '퓨토피아'(바람과 유토피아의 합성어)사업 아래 소형과 중형 풍력발전기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 1백KW급 풍력발전기를 개발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01
남극기지를 순회하면서 각국 기지들의 환경보호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그린피스 동남극
로스
섬에 있는 남극최대기지인 맥머드기지(미국)에서 20㎞ 떨어진 '케이프에반스'에 '세계의 공원, 남극'이라는 푯말을 걸고 4명이 항상 상주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세종기지도 두차례에 걸쳐 이 단체의 검열을 ... ...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01
운반하는 매체인 물이 존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건조암이라 부른다. 이에 관한 연구는 '
로스
알라모스'과학연구소의 '스미스'박사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며 이 연구소에서는 1972년부터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이 연구소의 개략적인 고온건조암체의 개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강암 저반에 두 ... ...
PARTⅠ에너지 ENERGY
과학동아
l
198912
태양에너지를 거뜬히 이용한다. 바로 이 과정에서 수소(${H}_{2}$)가 생성된다.예컨대 클
로스
트리디움(Clostridium)박테리아는 세포내에 있는 효소의 도움을 받아 2개의 수소이온을 결합시켜 수소가스를 만든다. 또 녹조류인 클로렐라는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며 이 과정에서 ... ...
PARTⅢ 리액터 REACTOR
과학동아
l
198912
bed bioreactor)로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교반식 반응기만 좋아하던 페니실린 세파
로스
포린 등 항생물질 발효에도 이 반응기를 쓸 수 있음이 이미 입증되었다. 또 식물세포와 동물 세포배양에도 사용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있다.특히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경우, 세포자체가 매우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10
태양계와 같은 또 다른 행성계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안드로메다성운의 '
로스
248'이라는 별에 접근하는 것은 약 4만년 뒤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거의 무한정 은하계를 누빌 보이저2호에는 금도금이 된 지름 30㎝의 구리음반이 실려있다. 여기에는 여행중에 혹시 있을지도 모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