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데기
각질
피혁
가죽
등딱지
껍찔
깍지
d라이브러리
"
껍질
"(으)로 총 856건 검색되었습니다.
뚝딱뚝딱, 동물도 도구를 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7
껍질
이 딱딱한 조개를 먹을 때 바위를 사용해. 입으로 조개를 문 다음 바위에 내려쳐서
껍질
을 깨는 거야. 이번 발견을 통해 사람들은 포유류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동물들이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거야. 앗! 저기 도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동물이 숨어 있어. 어서 가서 만나 봐! 잠깐!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서로 공생하면서 살아가는 첫 번째 사례로 꼽힌다. 만약 사람도 도롱뇽의 알처럼 얇은
껍질
로 둘러 싼 후 조류를 이용해 산소를 공급받는다면 어떨까? 아직은 상상일 뿐이지만 과학이 좀더 발전한다면 물속에서 자유롭게 호흡할 수도 있을 것이다.잠깐! 물에서 태어나는 사람사람은 공기 중에서 ... ...
캐나다 숲을 지키는 수호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3
하나라는 생각으로 연어는 필요한 만큼만 잡고, 나무는 썩은나무만 베어 썼지. 나무의
껍질
도 나무가 죽지 않도록 3분의 1만 벗겨서 사용했단다. 잠깐! 인디언은 잘못된 말이라고? 인디언 또는 아메리카인디언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에요. 미국이나 캐나다를 발견한 백인들이 인도의 일부로 ... ...
뚝딱뚝딱! 중생대 화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2
화석을 보면 공룡과 같은 시대를 살았던 다양한 곤충들의 모습을 볼 수 있지요. 조개
껍질
모양의 패갑류, 수서딱정벌레 등 모두 물가에 사는 동물과 곤충의 화석이 발견되었답니다. 중생대에 이 곳이 호수였다는 걸 말해 주지요.이렇게 화석을 보면 과거의 생태나 환경 등을 미루어 짐작할 수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2
역사를 따라가 볼까요?신발, 인류 문명과 함께 진화하다최초의 신발은 넓적한 나무
껍질
이나 풀잎, 가죽으로 발을 감싼 것이었어요. 그러다 사람들이 금속과 고무, 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게 되자 신발의 재료도 더욱 다양해졌답니다. 또 의학이 발전해 인간의 몸을 속속들이 알게 되면서 발과 ... ...
돌돌이, 너는 내 운명
과학동아
l
201112
cm, 높이 45cm 크기로 돌돌이가 슬슬 기어 다니기에 적당했다. 바닥에는 물에 적신바크(나무
껍질
을 잘게 조각낸 것)를 깔아줬다. 폭신폭신한 느낌을 주기에도 그만이지만 습도를 맞추는 기능도 있다. 여기에 하루 한 번씩 사육장에 분무를 해 60~70%로 습도를 맞춰줬다. 특히 허물을 벗을 때는 습도에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112
우임금이 홍수를 다스리려고 황허강 줄기인 낙수의 물길을 고치다가 발견한 거북 등
껍질
의 그림에서 유래됐다고 전해진다.아버지가 보내온 빈 도시락세종은 아버지의 해법에 결코 찬성할 수 없었다. 그는 아버지와는 다른 새로운 조선을 꿈꾸고 있었기때문이다. 하지만 고작 33차 마방진 문제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12
기대어 번데기를 만들 수 있다. 더 확실하게는 땅에서 10~20cm의 깊이로 판 구멍에 나무
껍질
이나 풀로 그늘진 은신처를 만든 뒤 번데기나 애벌레를 묻는다. 자연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다.애벌레와 어른벌레는 정말 같은 종일까변태를 진행하는 곤충들을 보고 있노라면 애벌레와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1
많이 들기 때문에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굴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껍질
을 만들 때 활약하는 물질(생체촉매)로 이산화탄소를 잡는 기술도 있어요. 이런 이산화탄소를 잡는기술은 대부분 발전소의 이산화탄소를 잡기 위해 개발되고 있지요. 이산화탄소의 약 40%가 화석연료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11
부족함이 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월 12일자에 실렸다. [“피부
껍질
아니에요” 전자피부는 판박이 문신처럼 피부에 붙였다가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손 안에 든 키패드’. 우리 몸은 부위마다 두드릴 때 나타나는 소리의 파장이 다른데, 이를 이용하면 우리 몸을 키패드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