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d라이브러리
"
결합에너지
"(으)로 총 1,09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09
생물다양성협약생물다양성협약은 1992년 리우의 지구정상회담에서 150개국 정부가 서명한 협약이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이 생태계에 관한 것 이상으로 인류의 생존과 건강한 환경에 대한 것임을 인식한 회의다.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생물종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다양 ... ...
젊고 열정적인 연구 문화
과학동아
l
201008
UNIST는 2009학년도에 첫 신입생을 선발한 신생대학이다. 캠퍼스 운영에서도 젊은 감각을 발휘하며 기존의 이공계 중점대학들을 무섭게 추격하고 있다. UNIST는 특히 융합과학기술 구현을 강조하며 연구중심대학으로 자리잡는 데 중점을 둔다. 10년 내 홍콩과기대의 위상을 따라잡을 것을 목표로 하며,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08
봄이 되면 색색의 꽃이 피어 우리 눈을 즐겁게 해준다. 이때 꽃잎의 색깔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도 어느 곳에 심었느냐에 따라 그 색이 달라지기도 한다. 꽃잎 속에 존재하는 유기 물질을 통해 색이 나타나는 원리에 관해 살펴보자.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08
지천에 널린 물을 보고 신기해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사실은 과학자들이 그렇다. 물은 대단히 특이한 성질들로 가득한 신비로운 물질이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생화학자인 미국 하버드대의 로렌스 헨더슨 교수는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기이한 특징 때문”이라고 말했다. 물과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08
해당과정 세포 내에서 호흡 기질이 O2에 의해 산화되는 과정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일어난다. 세포질로 들어온 포도당은 분자 크기가 커서 미토콘드리아의 막을 통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세포질에서 일단 포도당을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한다. 이를 당이 분해된다는 의미에서 해당과정이라고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07
[지구과학]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를 말한다. 대부분의 생물체는 세포 구조를 통해 그 특성을 알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세포 구조를 살펴보고 관련된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도록 한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원핵세포는 히스톤 단백질이 결합돼 있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6
지난 3월 26일 밤 서해 백령도 남서쪽 바다에서 가라앉은 해군 초계함 천안함은 어뢰가 수중에서 폭발하면서 일어난 비(非)접촉 폭발로 선체가 두 동강이 나 침몰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민군 합동조사단(단장 윤덕용 KAIST 명예교수)은 5월 20일 오전 10시 국방부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자, 자. 다들 조용히 해 주세요. 거기 플라스틱 의원님, 변신 좀 그만 하세요~. 가볍고 튼튼하고 어떤 모양이든 원하는 대로 다 변하실 수 있는 거 알거든요~? 코를 오똑하게 높여 주는 성형계의 1인자 실리콘 의원님, 압니다. IT 산업의 핵심인 반도체의 재료가 실리콘인 거요. 세라믹 의원님? 금속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KAIST에 이상한 새가 나타났다고?”KAIST 캠퍼스에 이상한 새가 출현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찾았다. 이상한 새의 실체를 보여주겠다는 연구원들을 따라 오리연못 앞 잔디밭으로 갔다. 바퀴 달린 이동식 작업대엔 컴퓨터와 원격 조종기, 그리고 새 모양을 한 비행체가 실려 있다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한때 살아 있는 황금이라는 뜻으로 ‘생금(生金)’이라 불리며 고부가 가치 재료로 여겨졌던 대나무. 하지만 값싼 대체물질과 외국 대나무가 들어오면서 국내에서는 차차 설자리를 잃어갔다. 그런 대나무가 요즘 재기를 꿈꾸고 있다. 다양한 활용 가치가 알려지면서 대나무를 바이오에너지와 기능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