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공간의 무충돌 충격파 연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부딪치는 부분에서 일그러진 충격파형이 발견됐다. 그후
행성
탐사선들이 방문한 모든
행성
과 혜성에서 무충돌충격파가 발견됐다. 최근에는 태양면의 플레어, 초신성폭발 등에서도 충격파가 발생하면서 천체물리학자들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우주공간에서의 충격파 연구가 진전된다면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고찰에 어떤 문제가 있는가?- 프레드 호일경의 계산은 우주에 생명체가 있을 만한
행성
(${10}^{31}$)에 지구 만큼의 대양(${10}^{49}$물분자)이 있다는 전제 아래서 출발한다. 그는 또 물분자 만큼의 아미노산 양이 존재했고 이러한 아미노산이 매초마다 연결되고 분해되는 반복을 1백억년의 우주역사 동안 ... ...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으므로 '로스실드의 미생물'은 그 근거가 결코 희박하지 않은 셈.고대 중국에서는 불의
행성
, 바빌로니아에서는 질병과 죽음의
행성
,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는 전쟁의 신으로 통했던 화성에 정말로 생명체가 존재하느냐는 오랜 세월에 걸쳐 논란의 대상이 되었으나 지금은 적어도 고등생물은 살고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로서, 이는 지구 반지름의 3.87배에 해당한다. 밀도는 1㎤ 당 1.66g이다. 이 밀도는 목성형
행성
네개중에서 가장 큰 값이다.태양으로부터 해왕성까지의 평균거리는 30.06 천문단위(AU)인 45억 4백30만㎞다. 궤도주기인 해왕성의 1년은 164.79년이고 궤도가 지구궤도인 황도에 대해서 1.77°기울어져 있다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크기는 지구보다 작지만 질량은 태양과 맞먹는다. 거대한 별의 모든 질량이 조그마한
행성
으로 압축되었을때 그 물질의 밀도가 얼마나 높을 것인가는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이는 궁극적인 상태는 되지 못한다. 백색왜성에서도 원자핵은 전자들에 의해 어느 정도 분리되어있다. 그러나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용융상태인 뜨거운 마그마의 바다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석과 소
행성
들의 낙하와 충돌현상이 줄에들어 지표는 냉각됐다. 지각에 내포돼 있던 수증기들이 증발해 구름을 생성시켰고, 구름 역시 냉각으로 팽창현상이 일어나게 됨에 따라 지구상에 많은 비를 내리게 됐다.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유념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볼 때는 황도가 경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내
행성
은 태양과 지구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달처럼 위상 변화를 한다(그림5). 연수회 때 천체 망원경을 통해 본 금성은 반달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즉 금성은 당시 동방최대이각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1kps는 3천2백6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만약 우리가 이들 성단 중 하나 안에 있는 어떤
행성
위의 관측자라면 다른 성단은 2등급의 광도로 수백개의 별들이 분해되는 장관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M10은 M12와 함께 1764년 5월 메시에가 발견했다. 그러나 메시에는 이를 별이 없는 성운으로 알았고 1774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모습을 묘사한 작품 계열의 종착역이라 할 만하다. 또한 이것은 '접촉 이후' 즉 지구와
행성
탐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대담하게 다룬 작품이다. 클라크는 그의 뛰어난 과학적 상상력과 그에 따른 치밀한 구성력으로 70년대 이후에도 정통 과학소설의 맥이 후배 과학소설가들에게 이어지게 만든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파의 메아리가 도착하는 시간도 상대성이론이 옳음을 증명한다. 이것은 지구에서
행성
으로 보낸 전파중 직접 지구에 반사되는 것과 태양의 중력장을 우회하는 것과의 도착시간의 차이를 뜻한다. 이 차이를 통해 태양의 중력으로 인한 별빛의 구부러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이 방법은 1964년부터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