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엄청나 10만분의 1초에 해당한다. 이러한 분해능으로는 가까운 별에 속한 지구 크기의
행성
을 찾아 낼 수 있으며, 이것은 허블 망원경의 1만배에 해당한다. 이런 엄청난 분해능과 자외선에서 적외선에 이르는 광역 파장으로 대부분의 천문학적인 대상은 세밀히 관측되리라 기대된다. 은하핵(galactic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북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했고 북두칠성은 그 반대편에서 아래로 잠기고 있다.이달의
행성
금성/사자자리에 있게 되는데 초순경에는 아침 여명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하순경에는 -4.3등급의 밝기로 보일 것이다.화성/처녀자리에서 2등급으로 보인다. 중순 이후에는 저녁 황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어두웠던 밤과 같이 돼버렸다. 아직도 구름이 90%정도 낀 상태였기 때문에 별이나
행성
의 모습은 볼 수 없었다. 엷은 구름때문에 코로나의 휘선은 볼 수 없었고 흑태양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붉은 홍염을 볼 수 있었다. 개기식 때 구름은 사진관측을 방해해 코로나의 휘선이 구름에 왜곡당하고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행성
들이다. 비록 아직 명왕성의 정확한 질량과 크기가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이 거대한
행성
들을 닮지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위성 카론이 발견된 이후 이 위성의 명왕성 주위 궤도가 알려지면서 명왕성의 질량도 어느 정도 정확히 추측할 수 있게 됐다. 명왕성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0.26%에 해당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미치게 하는 인력.
행성
의 궤도는 태양의 인력만을 생각하면 타원이 되지만 실제 다른
행성
의 힘도 작용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타원이 되지 않는다. 이때 이 힘을 섭동력이라 부른다. 인공위성의 궤도도 지구 적도부의 부풀음과 대기저항, 달과 태양의 인력 등에 의한 섭동을 받고 있다.대기권의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이다.물론 다른 의문들도 제기될 수 있다. 왜 혜성들이 훨씬 큰 목성이나 다른
행성
들도 아닌 바로 토성에 의해 찢겨졌는가 말이다. 뿐만 아니라 찢겨진 혜성의 수도 한 개 정도일 수가 없다. 돈스씨는 10~1백개의 혜성들이었으리라 추측한다.언젠가 우주탐사기가 토성으로 보내질 것이다. 이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 변동주기중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45억년 전 지구가 태양계 내에 떠다니던 소
행성
(떠돌이 별)들과 수없이 부딪히면서 만들어질 때 그 충돌과 많은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가스에 의해 지구 대기가 생성됐다. 따라서 태초의 대기 구성 성분은 지금의 성분과는 아주 다르다. 원시 대기의 주된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기기들을 의미한다. 수많은 고온의 항성(恒星)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태양계의 차가운
행성
들도 대부분이 각자의 자장을 갖고 있다. 이 천체들의 자장도 지구 다이나모와 비슷한 맥락에서 설명되고 있다. 다이나모에 관한 연구는 자력유체역학(magnetohydrodynamics) 분야에 속한다. 역전의 흔적,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날개짓하며 올라오고 있고 그 뒤를 전설 속의 미녀 안드로메다가 따르고 있다.이달의
행성
금성/저녁 하늘에 사자자리 아래 쪽으로 보인다. 밝기는 -4.0등급(직녀의 약 40배)으로 지난달보다 약간 흐려졌다. 그러나 중순경에는 점차 저녁의 황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화성/사자자리에서 처녀자리로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행성
상 성운이 존재하리라 여겨지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것은 1천개 정도다. 유명한
행성
상 성운으로는 거문고자리의 고리성운, 작은여우자리의 아령성운, 큰곰자리의 올빼미 성운이 있다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