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같다. 이런 유적이 모두 발굴되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고대 마야문명의 수수께끼를
풀
새로운 자료도 나타날 것이다.멕시코의 유적을 둘러본 고고학자나 역사학자들이 한결같이 갖게 되는 절실한 생각은 5백년 남짓 전까지만 해도 찬란했던 문화를 가졌던 왕국이 어떻게 해서 그렇게 완전히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모르잖아요.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빨리 포기하고 객관식 문제에 주력해야 해요. 못
풀
었다고 속상해하면 다른 문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시험 전날에는 공식을 최종 점검해야 하지요. 특히 공식이 2승인가, 3승인가 등을 잘 눈여겨 봐둬야 합니다.수학은 시험 전날 공식을 처음부터 끝까지 쭉 ... ...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사람을 동시에 위하는 위대한 축산학자가 될 것"이라고.목장길을 거니노라면 진한
풀
내음과 함께 상긋히 펼쳐진 초원의 아름다움을 문득 떠올릴 수 있다. 경쾌하게 울리는 쇠방울소리, 거기에 어울려 산새 들새의 조화로운 하모니가 아니더라도 목장길을 걸으면 몸과 마음이 가벼워지는 것을 ... ...
길엽초'신세 면하게 돼'길엽초'신세 면하게 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발견한 미기록종 좀겨
풀
도 얼핏보면 강아지
풀
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처음에는 강아지
풀
인 줄 알고 그냥 무심코 지나쳤는데, 자세히 보니 뭔가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교수님께 보여 드렸어요. 금방 구별이 안되는 식물은 일단 채집했다가 나중에 도감도 보고 참고문헌도 찾아본 게 주효했어요.이순 ... ...
한방약의 고향 중국의 안국시 약재시장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3백65종의 약재가 기재되어 있다. 이 책의 편자로 알려져 있는 '신농'(神農)은 '여러가지
풀
을 씹어보거나 핥아 70회나 독성에 중독되어 가면서 약이 되는 재료를 가려냈다'고 전해지고 있다.그로부터 1천3백년 뒤인 명나라시대에 편찬된 본초강목에 기재된 중약은 1천8백92종이나 된다. 현재 수집되고 ... ...
왜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을까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나무나
풀
섶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는다. 그리고 그 알을 품어 부화시킨뒤 먹이를 물어날라 기른다. 뻐꾸기는 이런 새의 일반 생태와 다르다. 그것은 왜일까.생물이 살아가는 지혜를 살펴보면 실로 감탄할 때가 많다. 뻐꾸기(Cuckoo)도 그런 한 예다. 이 새의 위탁부화(委託孵化)라는 지혜는 교활하다 ... ...
홍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측백나무 섬향나무 산기장 큰천남성 소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종가시나무 섬모시
풀
며느리배꼽 돈나무 괭이밥 녹보리똥나무 보리밥나무 쥐똥나무 ... ...
각광받는 AT기종 좀더 빨리,좀더 많이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좀더 성능이 뛰어난 PC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고 시스템의 가격도 많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
이하고 있다.컴퓨터 사용자들의 컴퓨터 이용력이 증가함에 따라 좀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원하고 더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하고 싶어하는 이용자들의 욕구가 XT보다 AT를 더 선호하게 되는 요인이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소군집이 모여 대군을 이룰때만 가능한 것이다.들소는 눈이 어지간히 쌓여도 눈밑의
풀
을 찾는 대단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눈보라가 여러 날 계속되고 추운 날씨가 겹치면 굶주림 때문에 죽는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가을에는 남으로 서서히 이동, 따뜻한 곳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에는 북으로 ... ...
개구리와 두꺼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곧 비가 그친다고 할 정도로 비가 오고 그치는 것을 잘 감지한다.아프리카에 사는
풀
개구리는 자기 몸 만큼이나 큰 울음주머니를 갖고 있다. 크게 울때에는 풍선처럼 주머니가 부푼다.개구리와 두꺼비는 양서류이다.올챙이는 아가미로 호흡하고 서서히 변태하면서 개구리 모습이 될때까지 폐로써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