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비상냉각계통/거대한 물탱크에 담그기도비상냉각계통의 개선에 고려되고 있는 개념중
풀
(pool, 수조)개념을 채택하려는 연구개발 노력이 있다. 이는 (그림2)의 원자로를 포함한 전체 1차 냉각계통을 거대한 수조내에 내장시키는 방법이다.이렇게 한다면 원자로에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경우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마치 우리나라의 해장술과 비슷하다.잉카사람들은 옥수수를 고추가루와 향내나는
풀
과 함께 쪄서 식탁에 올렸다. 또 옥수수가루로 스프(죽)를 만들고 빵을 제조해 먹었다. 빵은 뜨거운 잿더미 속에서 구웠다. 또 감자를 냉동시킨 다음 말려서 저장하기도 했다. 야마고기를 태양볕으로 말려 저장하는 ... ...
정기학습디스켓 「알라템
풀
」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학습프로그램까지 제공되는 점이 특징이다. 구입가격은 연간 18만원.삼성전자와 아이템
풀
은 음성발생장치와 CD-ROM 등 첨단장치를 이용한 학습방법들도 계속 개발할 예정이다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의해서도 석유가 생성될 수 있었을 것이다.만들어진 석유가 경제적 가치가 있는 오일
풀
(oil pool, 지층내의 석유가 모여있는 장소)을 이루기 위해서는 석유가 들어 있을 수 있는 암석내의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은 퇴적암중 사암이나 석회암과 같이 모래 알갱이로 이루어진 암석의 알갱이와 ... ...
PC게임과 비디오게임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Welltris) 등을 발표했다.교훈적인 시에라시리즈게임의 등장은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풀
어 준다는 점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런데 진정한 PC게임의 진수는 미국 시에라사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고 한다.시에라사의 게임은 정지된 그래픽화면을 주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이 직접 자신의 키보드나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때이고, 쉽게 지치므로 1km 이상 계속해서 뛰지는 못한다.타조는 주로 과일 열매 나뭇잎
풀
잎 등 식물성을 먹고 사나, 도마뱀이나 거북이 등 작은 동물을 잡아 먹기도 한다. 또 타조는 닭과 같이 모래나 잔돌을 주워 먹어 소화작용을 돕기도 한다. 타조의 알은 새알 중에서 가장 크다. 알의 길이가 15~1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pool)을 빙빙 돌며 꼬리를 친다. 애가 타는 수컷은 점점 숨가쁘게 암컷을 추격한다. 어느새
풀
은 태풍에 뒤집힌 바다와 같이 변한다. 교미는 이렇게 통상 물속에서 이루어진다.수태가 되면 그 징조는 3개월 뒤에 나타난다. 보통 임신기간은 1백90~2백10일로 알려져 있다. 외국의 한 동물원에서 23마리의 ... ...
환경오염에 눈 뜬 동유럽국가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대신에 갈탄 사용량을 늘리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후 된 설비를 '1일 21시간'까지
풀
가동시켰다. 이와 함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정부가 독점하고 민간차원의 환경운동이 거의 없었던 것도 환경파괴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됐다.국경이 서로 인접해 있고 산맥과 강을 공유하고 있는 유럽에서 ... ...
수학공부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풀
때에도 적용된다. 특히 어려운 문제를 다룰 때에는 어떤 과정을 거쳐 문제를
풀
것이며 지금은 어느 단계까지 와 있는가를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렇게 하는 데는 끈기라는 요소가 필요하다. 끝까지 파고들어 해결하는, 때로는 잠자리에서도 문제만을 생각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실력을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은 아니다. 땅거미는 땅속에 집을 짓고 살며 늑대거미는 먹이를 찾아 땅위나 나무줄기
풀
사이 등을 걸어 다닌다.4. ② 나나니벌은 외출할 때 집을 잘 찾을 수 있도록 집 주위의 표시를 기억한다. 만약 솔방울 모양을 바꾸지 않고 전체를 30㎝ 정도 옮겨 놓으면 나나니벌은 구멍을 찾지 못한다.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