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의 우주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독자들을 무시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 정도로 우주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천문
학을 전공하고 싶게 만드는 책(아마존닷컴)”이라는 호평을 얻었다.이 책은 맨눈으로 천체를 관찰하며 그 변화의 이유를 설명하려 했던 고대 그리스인들로부터 무한하며 안정된 우주라는 뉴턴의 우주관을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우주에는 뭐가 있습니까” 하고 어린이들이 물어올 때 필자는 언제나 “해, 달, 별이 있단다” 같이 대답한다. 과학적으로도 틀리다고 할 수 없을 뿐더러 유치원 아이들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명쾌한 대답이기 때문이다. 해, 달, 별 같이 아름답고 순수한 우리말이 살아있다니 정말 다행이라는 생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천체관측가들에게는 상당한 흥미롭다. 만일 그 별이 1등성이 된다면 그것은 대단한
천문
현상이 될 것이다.3월 6일 새벽 쌍둥이자리 델타별이 달에 가려진다. 보통의 경우라면 별로 주목받지 못하는 성식이지만 이번에는 다소 특별하다. 지난 1월 10일 개기월식을 보았는가. 그날 월식의 전 과정을 본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1-2일 정도 차이가 나기도 한다.오늘의 월령이 얼마나 될까는
천문
달력이나 역서에 잘 나와 있으므로 참조하면 된다. 어느 정도 월령에 익숙해지면, 반대로 하늘에 떠있는 달 모양만 보고도 월령을 짐작할 수 있을 뿐더러 음력 날짜도 가늠해볼 수 있다.구경 50mm로 지름 10km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러시아의 자존심 미르 우주정거장이 15년 간의 생애를 마감하고 우주개발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인류가 우주공간에서 살아갈 수 있는 초석을 다진 미르호가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기를 바라며 그의 삶을 재조명해보자.본격적인 의미의 우주정거장이자 최고령 우주정거장이 바로 러시아의 ‘미 ... ...
'블랙홀 진짜 검다' 첫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간접적인 증거가 많았지만 이번처럼 직접적인 증거가 포착되기는 처음이다.찬드라 X선
천문
위성은 ‘주변별’로부터 물질을 끌어당기는 과정에서 강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X선 신성을 관측했다. 특히 물질이 신성 중심으로 빨려들어감에 따라 에너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했다. X선 신성은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하와이 마우나키아에 건설한 구경 8m짜리 망원경 이름이기도 하다. 일본 국립
천문
대는 수바루란 이름을 공모해서 인터넷 투표를 거쳐 결정했다고 한다. 일본 사람들이 그만큼 하늘에 관심이 많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자동차 이름을 좀생이라고 붙이면 조금 멋스럽지는 않겠다. 수바루에 대한 전설은 ... ...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감기몸살로 좋지 않은 몸을 이끌고 사설
천문
대의 행사를 치르던 중에 일어난 일이었다.
천문
대를 그만둔 이후로 그는 우리나라의 주요 관측지와 호주, 뉴질랜드 등을 다니면서 그야말로 환상적인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지난해 말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사진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남에게 널리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이 알고리듬을 기초로 해 만든 데이터베이스(DB) 소프트웨어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천문
학 연구에 적용, 20억개의 천체 중에서 별과 은하를 자동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컴퓨터는 사전에 입력된 별과 은하의 이미지 패턴과 천체의 모양을 비교해 해당 천체의 실체를 파악했다.최근 연구자들은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서울대 이명균 교수(
천문
학)는“이보다는 충돌로 생긴 구덩이가 지구 대기와 물로 인해 풍화∙침식작용 때문에 충돌 흔적이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수성이 지구보다 구덩이가 많은 이유는 지구에는 대기와 물이 존재해 구덩이가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