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매스 익스프레스, 수학으로 2424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볼 수도 없어. 슬퍼할 겨를도 없이 다음 날부터 이사 준비가 시작됐지. 그리고…, 오늘이 바로 이삿날이야! Intro. 매스 익스프레스, 수학으로 2424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Part 2. 수학으로 꾸민 아름다운 공간 ‘벽지군’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 ...
- Part 2. 수학으로 꾸민 아름다운 공간 ‘벽지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한 자리에서 모두 감상할 수 있는 건축물이 지구상에 딱 한 곳, 스페인에 있습니다. 바로 그라나다에 있는 알함브라 궁전이에요. 벽지군이 17가지라는 것이 증명된 19세기보다 5세기나 앞선 1300년대에 완성된 건물인데도 곳곳에 새겨진 아름다운 무늬에서 17가지 벽지군을 모두 발견할 수 있다니, 정말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오른쪽 아래 끝부분으로 가는 경로는 총 몇 가지나 될까? 오일러 프로젝트 15번 문제는 바로 이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문제다. 경로 찾기 문제에서 시작된 그래프 이론 경로 찾기 문제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큰 관심을 가졌던 문제 가운데 하나다. 오일러는 스위스에서 태어났지만 러시아에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계절! 하지만 사진으로 보기만 해도 몸이 오들오들 떨리는 곳이 있었으니…. 그곳은 바로 남극! 이곳에 사는 펭귄과 해표들은 여름을 맞아서 배로 얼음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고, 눈을 침대 삼아 누워서 휴식을 취하고 있어요. 극지연구소는 지난 2011년부터 연구원들이 찍은 사진을 뽐내는 ‘극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차를 흔드는 힘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처럼 공기 압력에 차이가 생기면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힘이 가해져요. 바로 이 힘이 차를 흔드는 거랍니다. 베르누이의 원리는 스포츠에서도 쉽게 볼 수 있어요. 야구나 축구에서 공에 회전을 주면 공이 휘어서 나가지요? 공의 진행 방향과 회전 방향이 같은 부분에서 공기의 흐름이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김정은 연구원이 이끌던 연구팀은 먹는 형태의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개발했고, 이게 바로 오셀타미비어였다. 이후 로슈가 특허권을 사들였고, 2017년 8월 22일 타미플루에 대한 특허가 만료되면서 현재 국내외 많은 제약사들이 복제약을 생산하고 있다. 한미플루(한미약품), 유한엔플루(유한양행) 등이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Wade(제스 웨이드) 하루에 한 명씩, 과학계의 숨은 영웅을 매일 발굴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영국 임페리얼칼리지의 젊은 물리학자 제스 웨이드다. 그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유색인종 과학자를 소개하는 위키백과 페이지를 만들어왔다. 지금까지 쓴 과학자만 400명이 훌쩍 넘는다. 이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더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 부부의 대퇴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했다. 그리고 현장에서 바로 혈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농도를 검사했다. 남편은 약 60%, 부인은 55%의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이 혈액에서 검출됐다. 부부의 사망 원인은 틀림없는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색도, 맛도,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영화 ‘알리타’는 세상에 나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꼽은 최고의 장면은 바로 사이보그들이 대결을 벌이는 ‘모터볼’이다. 화려한 CG와 압도적인 스피드로 이 장면 하나만 봐도 티켓 값이 아깝지 않을 거라고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반복한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토성을 보고 깜짝 놀랐던 이유도 바로 그때가 하필이면 고리가 넓게 보이는 시기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망원경으로는 고리의 형태를 명확하게 분간할 수 없었으니, 갈릴레이가 토성의 양옆에 붙은 게 ‘귀’가 아닌지 심각하게 고민했을 법 하다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