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담지 않아도 돼 학생들이 나만의 주기율표를 구상할 때 공통적으로 어렵게 느낀 부분은 바로 기존 주기율표의 존재였다. 이미 모범 답안이 나와 있는 상황에서 이를 벗어나 새로운 발상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강 교사는 “주기율표는 15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학계에서 검증된 과학적 산물인 만큼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독자 여러분이 상상력을 발휘할 시간이 됐다. 칠흑 같은 체육관의 한쪽 끝. 촛불을 켠 뒤 바로 코앞에서 감자에 쇠 젓가락을 꽂은 채 빙빙 돌린다. 이제 체육관 입구에 서서, 반대편에 선 친구가 돌리고 있는 감자 모양을 본다. 뭐가 보일까? 작은 점(감자)이 환했다가 어두워지기를 반복할 것이다. ... ...
- [이투스의 입시정보] 컴퓨터공학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컴퓨터공학과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컴퓨터공학과 > 바로가기 -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컴퓨터학과 > 자세히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통계를 뜻하는 영어 단어 ‘Statistics’에 국가를 뜻하는 ‘State’가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죠.통계는 데이터를 다루는 목적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합니다. 하나는 수집한 데이터를 정리한 뒤 표로 만들거나 데이터의 특징을 알 수 있도록 평균, 분산, 표준편차 같은 통계 수치를 구하는 ...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늘어져 서 있는 길처럼 시점이 하나로 모여드는 그림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게 바로 1점 투시법을 이용해 그린 겁니다. 2점 투시법과 3점 투시법을 이용할수록 공간의 입체감을 더욱 살릴 수 있지요.특히 1점 투시법은 그림 혹은 화면을 보는 사람의 시선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어 재밌습니다. 한 ... ...
- [지구사랑탐사대] 신입팀이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은? HELE-B4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길게는 몇 해째 활동한 쟁쟁한 팀들 사이에서 당당하게 첫 얼굴을 알린 팀이 있어요. 바로 HELE-B4팀이에요. 첫 해부터 6종 중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이 궁금해 HELE-B4의 대원들을 만났어요. ● 지사탐 활동은 숙제가 아닌 일상! 지구사랑탐사대 : HELE-B4? 팀 이름이 특이해요! 허해울 대원과 허율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계몽 역설석주명 외에도 곤충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연구자들이 있었다. 바로 조복성과 김병하다. 이 둘은 모두 박물학을 통해 대중을 일깨워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조복성은 평양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보통학교 교사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예과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문제가 된다면,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을 탑재할 수는 없을까. 이 방식이 바로 홈버튼식 지문인식 센서에 널리 쓰이는 기술이다. 정전용량 방식은 손가락을 얹었을 때 축전기에 쌓이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하기 때문에 축전기 방식으로도 불린다. 지문 구조보다 크기가 작은 축전기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여준 것이다. 우주인 케이디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또 있다. 그가 바로 영화 ‘그래비티(Gravity)’의 주인공인 라이언 스톤 박사(샌드라 불럭)의 실제 모델이라는 사실이다. 그래비티는 2011년 케이디가 우주 비행을 하던 중 촬영됐고, 당시 샌드라 불럭은 전화로 우주에 있는 케이디와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한다. 이 윤곽이 곧 ‘블랙홀의 그림자’이며, 이것의 이미지(영상)를 얻는 것이 바로 EHT의 목표다.21세기 천문학의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모든 은하 중심에 태양의 100만 배 이상의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 적어도 하나씩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블랙홀을 초대형 블랙홀이라고 한다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