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크기가 2900km까지는 일정하다가 그 이후로 계속 줄어든다. 즉 지구 내부에서
측정
한 압력의 크기는 구텐베르크면까지는 점점 가파르게 증가하다가(∵밀도), 그 이 후로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중력가속도) S자 커브를 보인다 ... ...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잃지 않도록 선생님과 부모님이 옆에서 도와 주어야 해요.4학년이 되면 단위를 사용하는
측정
단원에서 단위 변환을 할 때 울렁증 증상을 보이는 친구들이 종종 생겨요. 평소엔 잘하다가 시험만 보면 km로 구하라고 했는데 m로 답을 쓰거나, 1L가 몇 mL인지 기억하지 못해 실수를 많이 하죠. 이때는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3000년에는 바빌로니아인들이 60진법 체계를 만들었다. 이 수 체계는 지금도 시간과 분을
측정
할 때 사용한다.기원전 1만 4000년경에는 일본에서 최초의 토기가 만들어졌다. 인류가 불을 이용해 자연을 유리하게 바꿨던 것이다. 이것이 ‘사이언스’가 보여주는 가장 최초의 과학이다.이 책은 세계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구별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용 카메라는 사용자나 벽, 의자 같은 주위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
한다. 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쓸 수 있다. 키넥트는 두 영상을 이용해 사용자의 몸을 입체 영상으로 만든다.사용자가 키넥트 앞에 서면 카메라가 위아래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몸을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환경에 관한 배경 지식 수준을 평가하고, 논제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추론하는 능력을
측정
하는 문제입니다. 우선 메탄하이드레이트와 메탄의 생성에 좋은 환경을 기술합니다. 영구 동토층을 포함한 추운 지역이라는 조건과 해저 지형 중 대륙 사면부의 특징을 종합해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성 과정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시간으로 거리를 알아낸다. 레이저를 전방을 향해 좌우,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거리를
측정
하면 장애물의 정확한 형태를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다. 레이더도 비슷한 역할을 한다. 레이저보다는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속도가 빠르다. 영상도 장애물을 인식하는 데 쓸 수 있지만 얼굴 인식 기술과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물리적인 양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자연현상의 단위에도 쓰인다. 지진의 세기를
측정
하는 단위 리히터는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이용해서 지진의 크기를 알려 주는 단위다. 지진의 최대 진폭은 매우 큰 수로 표현되는데, 이때 로그는 큰 수를 작은 수로 바꿔 누구나 쉽게 그 정도를 알 수 있게 ... ...
가볍게 들어도 근육 커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30%는 24번 이상을 들 수 있다.연구팀은 운동을 끝낸 뒤 근육 세포가 만들어지는 정도를
측정
해 비교했다. 그 결과 근육이 피로를 느낄 때까지 운동을 했다면 가벼운 무게로 많은 횟수를 들거나 무거운 무게로 적게 들거나 근육 세포가 생기는 정도가 비슷했다.지금까지는 무거운 무게를 들 때 근육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필요한 나노광학 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탐침 끝의 구멍 지름이 작고
측정
시료와 탐침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분해능이 좋아져요. 하지만 구멍이 있기 때문에 분해능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죠. 그래서 요즘은 구멍이 없는 탐침을 사용하고 대신 레이저를 따로 쏘는 2세대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비율을 알면 그 화석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죠. 저희 경우 씨앗 두 개를 갖고 연대
측정
을 했는데 하나는 650년 전, 하나는 760년 전이라고 나왔습니다.그런데 과피가 그렇게 딱딱하다면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싹이 틀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고요? 물론 쉬운 일은 아닙니다. 토양미생물로 과피가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