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측정
오차 원인, 벤포드 법칙으로 밝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호주 캔버라 관측소와 페루 관측소에서 2004년 12월에 일어난 수마트라-안다만 지진을
측정
한 값이 벤포드 법칙을 따르는지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벤포드법칙을 따르는 것을 확인했지만 일부 값에서 두 관측소 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캔버라 지역의 다른 지진 기록을 캔버라 관측소 ... ...
눈송이 크리스마스 카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그런데 안타깝게도 현존하는 것은 진품이 아닌 복제품이다. 발견 당시 사진촬영과
측정
을 마치고 특수 제작된 오븐에 넣어 수분을 제거하던 중 자동조절장치의 고장으로 오븐이 과열돼 주사위가 불타고 말았다.목제주령구 14개의 면에는 재미있는 벌칙이 쓰여 있다. 아마도 귀족들이 술자리에서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환경의 행성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구와 별까지의 거리는 별의 삼각시차를
측정
하거나 색과 밝기를 이용해 알 수 있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외계행성을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번째는 ‘인지로봇’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인지로봇은 사람의 상태와 요구를 정확하게
측정
해 그에 맞게 동작하는 로봇이다. 하지만 인지로봇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책상에 놓인 물잔을 보고 손으로 집어 드는 단순한 동작의 경우, 물잔을 인식하고 팔을 뻗어 잡은 뒤 부서지지 않을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설계할 때는 반드시 캐비테이션을 고려해야 한다.그런데 캐비테이션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
하기 위해서는 배가 움직이는 것보다 배를 가만히 두고 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유리하다. 수조 실험은 일반적으로 실제 상황을 수십 배 축소해 진행하는데 이때 선박이 받는 대기 압력도 같은 비율로 낮춰야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용액의 표면 장력은 점점 감소한다. 비누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액의 표면장력을
측정
해 표면장력이 더이상 감소하지 않는 지점을 찾으면 미셀 형성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제시문 (다)를 볼 때, 비누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는 용액 내에 아직까지 큰 입자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법과 달리 초전자 자석 통 안에서 계속 회전하게 만들 수 있어 오랫동안 정밀하게
측정
할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질량분석의 해상도는 더욱 높아진다.첨단 장비 개발로 주도권 잡아현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는 세계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FT-ICR 질량분석기가 있다. 만들어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까운 행성이 공전주기가 짧고 별빛을 가릴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극심 시각
측정
법은 행성의 질량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극심 시각의 변화폭이 매우 적어서 오랫동안 정밀한 관측이 필요하기 때문에 외계행성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지 않은 편이다.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한 방법은 2개의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얻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분리해 낸 그래핀을 실리콘 박막 위에 붙인 뒤 그 성질을
측정
해 그 내용을 2004년 10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당시 그래핀을 얻기 위해 연구 중이던 다른 연구팀보다 훨씬 간단하고 기발한 방법으로 분리에 성공해 크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그래핀은 C60 ‘풀러렌’,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다. E(핵융합 반응 전 에너지)=E′(핵융합 반응 후 에너지) 실제
측정
결과가 E(핵융합 반응 전 에너지)<E′(핵융합 반응 후 에너지)라면 에너지보존 법칙 만으론 설명할 수 없다. 핵융합 반응에서 질량이 감소했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핵융합 전 원자의 질량합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