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속해 있는 전체 공간을, 오른쪽 눈은 대상의 구체적인 정보를 잘 인식한다.지 교수는 “
뇌
는 전체를 먼저 파악한 뒤 자세한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편하게 느끼기 때문에 왼쪽에서 오른쪽, 즉 가로방향으로 시선이 이동하게 된다”고 말했다.시각세포는 가로를 좋아해가로본능이 실제로 있긴 한걸까.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공감각이 학습 효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
변연계의 한 부위, 예컨대 여러 감각기의 통로들이 모이는 해마 같은 곳에서 한 감각기의 정보 일부가 다른 감각기로 흘러 들어가 공감각이 생긴다는 의견이 우세해지고 있다.붉은 색은 다른 색보다 많은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벚꽃. 꽃잎과 줄기 사이로 파란 하늘이 살짝살짝 보인다.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실
뇌
에 있는 별아교세포의 돌기. 이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골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항원과 항체가 결합하는 면역반응을 이용해 염색한 다음 광학현미경 200배로 찍은 작품이다. 파란 점은 염색되지 않은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꾸준히 발견돼 돼지고기에 대한 공포감을 증폭시킨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사람의
뇌
속에 들어간 갈고리촌충의 유충은 오랜 기간, 길게는 20년까지 살아 있다가 수명이 다해 죽으면서 각종 증상을 일으킨다. 다시 말해 지금 누군가가 유구낭미충증 환자로 판명된다면 그건 20년 전에 남보다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직접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내이에서 소리 정보의 차이를
뇌
간에 위치한 상올리브핵과
뇌
간 위에 있는 하구로 전달하면 이곳에서 분석해 소리의 방향을 파악한다. 첩보원들이 여러 가지 정보를 갖고 오면 그 정보를 분석하는 일은 분석실에서 따로 맡는 것처럼 말이다.양쪽으로 듣는다는 것은 여러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완쾌됐다면 정신분열병이 아니었다고 말할 정도. 이들 약물은
뇌
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을 억제해 각종 증상을 억제한다. 문제는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이들 약물이 다른 신경전달물질에도 작용해 신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데 있다.치료 효과를 부인하는 일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 201364 원격업무시스템 보급 201065 사회간접자본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개발 201566
뇌
혈관 질환 원인 규명 201867 거부반응 없는 인공장기 실용화 201968 장기생산용 동물 개발과 사육기술 실용화 201769 질병예측시스템 실용화 201770 재활용율 100% 건설재료 개발 201571 위성이용 한반도 연속감시기술 개발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좀더 단순한 법칙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물리학 이론을 이용한 방법은
뇌
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학습이나 인지능력을 연구하는데 계속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다체론 (Many-body theory)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입자들이 모인 시스템을 다루는 물리학 이론. 입자가 많으면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군데가 아니라
뇌
의 여러 부분에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돼 있다”며 “컴퓨터처럼
뇌
의 특정 부위를 제거해 특정 정보를 지우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특히 오래된 기억일수록 단단하기 때문에 지우기 힘들다”고 강조했다.잃어버린 기억찾기머리 부딪히면 기억이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는 웃는 듯 마는 듯 신비한 미소로 유명하다. 혹시 모나리자의 신비한 미소는 인간의
뇌
때문일까. 최근 '
뇌
, 아름다움을 말하다' ... 때문이다. 각각의
뇌
는 반대쪽 눈의 근육을 활발하게 만들고 시선은 그 쪽으로 치우친다.
뇌
를 알면 삶이 깊어진다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