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옆에서 순식간에 터졌다. 그 불빛에 놀라 살짝 움직이고 말았다. “똑바로 나올 때까지 100번이고 찍을 테니까 한번에 잘 합시다.” 다시 한번 촬영이 끝나고 스캐너실을 나서자 국과수 직원이 컴퓨터를 만지작거리고 있다.헉. 컴퓨터 화면에는 방금 찍은 게 3D 사진으로 구현되고 있다. 마우스를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맞을 것 같습니다. ‘어떻게 손이 이렇게 움직일까’, ‘벼룩은 어떻게 자기 몸 길이의 100배나 뛸 수 있을까’와 같은 궁금증이 연구 주제로 발전하게 되거든요.이차연 기계공학의 매력은 뭐라고 생각하세요?김호영 공부한 것을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인 것 같아요. 소금쟁이 로봇을 예로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진동하는 빛 입자는 판을 통과하고 다른 입자는 반사돼 튕겨 나간다. 한 파장에서 광자 100만 개가 나오는 빛을 편광판에 쏘고, 빛이 통과하는 곳과 반사되는 곳에 각각 탐지기를 둔다면 빛이 통과하는 곳에 있는 탐지기에서는 과연 광자를 몇 개나 감지할 수 있을까? 정확하게 몇개가 통과할지는 알 ...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견의 의미, 그리고 발견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있다. 이제 중력파 천문학의 시대가 시작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최소한 3만 년 이상 지속됐고, 여기서 분출된 용암은 현재 남부 인도 면적의 절반인 100만 km2의 넓은 지역을 겹겹이 덮었다.이곳이 현무암으로 이뤄진 데칸고원이다. 한반도 전체를 한라산보다 훨씬 높게 덮을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51만2000km3)의 용암이 분출된, 지구 역사상 가장 큰 화산 분화 중 ... ...
- 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세돌 9단과 인간 프로 기사를 최초로 꺾은 구글의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가 100만 달러를 걸고 대국을 가진다. 현재까지 전문가들은 압도적으로 이세돌의 승리를 예상하고 있다. 알파고가 지난해 10월 대결한 유럽 챔피언 판 후이 2단의 실력이 이세돌에 크게 못 미친다는 것. 벌써부터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략을 고수하고, 알파고2는 알파고1을 이길 최선의 전략을 찾게 한 것이다. 이런 대결을 100만 번이나 했다.김 숫자는 어마어마해 보이지만, 시간이 더 많이 걸린 것은 기보를 보며 학습하는 과정이다. 학습에 3주나 걸렸다.한 그 정도면 빨리 학습한 것이다. 한때는 너무 학습 속도가 느려서 딥러닝이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사실을 정확히 집어낼 수 있답니다. 비슷한 색깔, 비슷한 모양끼리 픽셀을 분류한 다음 100% 똑같은 패턴을 가진 부분이 있는지, 사진을 이루고 있는 픽셀과 전혀 다른 정보를 갖고 있답니다.이렇게 수학을 알면 온라인 속 멋진 사진의 비밀을 알 수 있어요. 사진을 예쁘게 보정하거나 부자연스럽게 ... ...
- [과학뉴스] 달은 두 행성의 ‘정면 박치기’ 결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생성에 대한 가장 유력한 가설은 충돌설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생긴 지 100만 년쯤 된 초기 지구와, 원시 행성인 테이아(Theia)가 충돌하면서 달이 만들어졌을 거라고 본다. 그런데 최근 그 세부과정을 밝힌 논문이 ‘사이언스’ 1월 29일자에 실렸다.미국 UCLA 지구행성우주과학과 에드워드 영 교수팀은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