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세계 곳곳에서 발견됐다.인류세 자체를 부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홀로세가 시작된 지 1만1000년밖에 되지 않았고, 급격한 변화가 시작된 지도 얼마 지나지 않았으므로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또 홀로세 자체가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했으므로 인류세를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남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주선 ‘스페이스쉽2’는 약 110km 고도까지 올라갔다가 지구로 내려와요. 보통 고도 100km를 지구 대기와 우주의 경계선이라고 해요. 따라서 스페이스쉽2를 탑승하는 시간은 총 2시간 반 정도지만, 우주에 머무르는 시간은 10분도 채 되지 않지요.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까지 약 700명의 사람들이 티켓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정했어요. 하지만 그의 정의는 1745년 칼 리네우스에 의해 물의 어는점이 0℃, 끓는점이 100℃로 바뀌지요.그런데 혹시 ℉란 온도를 본 적 있나요? 이는 화씨온도의 단위예요. 화씨온도는 독일의 과학자 다니엘 파렌하이트가 1720년에 만들었어요. 이것은 얼음의 녹는점을 32℉, 물의 끓는점을 212℉로 한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공기 중에 떠 있는 입자는 물 분자 또는 질소 분자와 끊임없이 부딪히는데, 특히 μm(100만 분의 1m) 단위로 크기가 작은 꽃가루는 역학적으로 평형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꽃가루가 브라운 운동을 할 때 움직이는 거리를 구하는 수학식을 단순화시켰다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된다. 그러면 행렬의 성질을 이용해 쉽게 답을 구할 수 있다.그런데 행렬의 크기가 100만×100만 같이 커지면 슈퍼컴퓨터가 풀더라도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 이것을 해결하는 답은 선형대수학에 있다. 선형대수학은 크기가 큰 행렬을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다루도록 도와준다. 푸는 데 10년 걸릴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잘 만들어진 게임이 가장 좋은 선생님이지요.Q 게임 개발자는 게임도 잘 할 것 같습니다.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긴다면 몇 점 정도 된다고 생각하십니까?정상원 여러 장르의 게임을 좋아하는데요. 액션 게임은 60점도 안 되는 것 같고, 전략 게임은 90점 정도 된다고 생각합니다.송재경 저는 게임을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1로 볼 때의 비율입니다.비율은 기준량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있으며 기준량을 100으로 했을 때의 비율을 백분율이라고 부릅니다.비와 비율은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합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비와 비율을 찾아보게 하면 학생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생활과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좋은 과학 연구의 필수 조건이다. OSC는 가장 권위 있는 유명 학술지 세 개에 실린 100여 개의 심리학 연구들을 재현해 봤고, 그 결과를 지난해 8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절반 이상이 동일한 결과를 얻는 데 실패한 것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고한 97개의 연구 중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도 해가 뜨고, 진다. 30년 전 태어난 나는, 과거 어린 시절의 추억을 기억하고 현재를 살고 있으며, 머리가 하얗게 셀 미래가 오리라는 걸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의 직관대로라면 ... 그리고 우주를 만들어내는 가장 본질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현대물리학의 다음 100년을 기대해 보자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만약 착상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평균 63일의 임신 기간이 지난 뒤 원본견과 유전자가 100% 동일한 새끼가 태어난다.]뛰어난 명견의 복제견은 ‘후각망울’이 크다현재 복제견은 마약탐지 등에 많이 투입되고 있다. 복제견을 탐지 부문에서 활용하겠다는 발상이 처음 나온 건 2007년이다. 이병천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