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빠른 독자들은 알아챘겠지만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는 프랙털 도형이다. 작은 조각이
전체
와 비슷한 모양을 가진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수학적 성질이 있다. 바로 구와 위상동형이라는 점이다. 즉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를 부수지 않고 잡아 늘이기만 해서 동그란 구를 만들 수 있다. 반대로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물을 흡수하는 효율은 습도에 따라 달랐는데, 건조할 때는 11시간 만에 재료
전체
무게의 4분의 1을 물로 채울 정도였다. 습도가 높을 땐 속도는 느리지만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어, 13시간 만에 재료 무게의 80%에 해당하는 물을 머금었다.연구팀은 자연을 모방한 ‘생체모방공학’을 이용해 이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답을 아직 찾는 중이다.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법칙◀ 자연 속의 프랙탈. 계속 확대해도
전체
모양이 반복된다.법칙이 있다고 해서 미래를 항상 예측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올 여름 태풍이 언제 올지 알려면 나비 한 마리의 움직임까지 조사해야 하니 말이다. 하지만 이것은 원리적으로 예측 못하는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하지만 FIFA가 2013년 브라질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골컨트롤-4D를 시범 사용한 결과
전체
68골을 정확히 판정했다. 또 골컨트롤-4D는 경기장 안에서 공의 움직임을 쫓아다니며 심판과 관중, 코치에게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한다. 각 팀에서 경기내용을 통계 분석할 때도 유용하다.INSIDE | 경기 중 골이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먹은 적이 있다. 그리고 결국엔 크게 배탈이 났다. 음식 일부분에만 핀 곰팡이를 보면
전체
가 역겨워져 먹지 않았어야 했는데 역겨움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 탈이 난 것이다. 이렇게 사고는 늘 살짝 방심할 때 나기 때문에 안전에 관해서 우리의 몸과 마음은 ‘조심해서 나쁠 것 없고, 잘 모르면 일단 ... ...
Part 2 - Moon Story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책임연구원은 "태양계 형성 초기에 여러가지 미행성이 만들어진 뒤 행성들이
전체
적으로 태양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는 과정이 있었다"며 "이 때 많은 미행성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안팍으로 튀어나갔는데, 화성의 위성은 그 때 포획됐을 것"이라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투수가 시속 150km로 던진 공이 18.44m 떨어진 포수의 글러브로 들어가는 시간은 불과 약 0.44초. 눈 한 번 깜빡할 사이에 지나가 버리는 공을 타자 ... 망막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승 교수는 “이번 연구로 망막 커넥톰
전체
를 재구성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기억이 쌓이기 시작해 7세경에 도달했을 때 약 1년치(즉 절반의 기억)를 망각한다면
전체
기억의 50%를 잊은 것이다. 그러나 55세에 도달한 성인이 1년치 기억을 잊으면 고작 2%의 기억을 망각한 것이다.유년기 기억은 아주 소중한 추억이다. 그 기억이 대부분 사라진다니 속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위성만 있다(모행성 과 반대로 공전하는 불규칙위성이 훨씬 많은 것도 이 때 문이다).
전체
적으로 불규칙위성은 존재할 수 있는 구간 이 정해져 있으며, 그나마도 구간이나 기울기 등이 비슷 한 것들이 무리 지어 있다. 왜 그럴까.울퉁불퉁한 불규칙위성 포에베의 표면.크기가 작은 천체는 자체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2012년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한 비율은
전체
화재 건수의 24.7%이지만 사망자수는 주택화재가 69.3%를 차지한다. 소화설비나 대피공간이 마땅찮은 주택화재에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 절실하다는 뜻이다.연구진은 기존 거주공간에서 화장실에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