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기대하고 있다. ‘네이처’ 기사에 따르면, 이 영역에는 카이퍼벨트에 있는 소천체 전체보다 10~100배 많은 천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내 진정한 끝을 논하고 싶다면, 이 천체들을 먼저 찾고, 또 탐사하는 게 도리일 것이다. 그 전에 함부로 ‘태양계의 끝을 벗어났다’고 말하지 말라. 더구나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래 1976년에 드디어 쌀 자급에 성공했다. 그 해 수확량은 3621만 석이었다. 1978년에는 전체 벼 재배 면적의 76.2%에서 통일벼를 재배했고 평균 생산량도 500kg가까이 뛰어올랐다. 드디어 하얀 쌀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게 됐다. 2014년 세계화 속에 살아남기통일벼 전성시대는 10년을 넘기지 못했다.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평면 위에 그려진 지도에서 이웃하는 영역은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한다’는 조건에서 전체 지도를 오직 4가지 색으로 색칠할 수 있느냐는 물음의 답을 구하는 문제다. 이 문제는 1870년경에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가 처음 제시했다. 이후 영국의 수학자 드 모르간부터 독일의 수학자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원리에 따라 큰 반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화포에 충격을 덜 주도록 발사시 포신 전체가 뒤로 후퇴하게 만들어졌다(영화에서 조선 화포가 반동이 없는 것은 옥의 티다). 판옥선은 갑판이 평평하고 넓어서 반동을 감당할 수 있었지만, 세키부네는 갑판이 좁고 배의 내구성이 약해 화포를 쓰기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해조류가 지구에서 발생하는 산소의 70%를 만든다고 하니 바다뿐 아니라 지구 전체를 깨끗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겠죠? 특히 다시마는 지구에 있는 식물 가운데 광합성 능력이 가장 뛰어나요.해조류 숲은 물고기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집이 되기도 해요. 물고기들은 해조류 숲 사이에 알을 낳고 그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각각의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온다고 할 때도 헷갈리지? ‘한때’는 지정된 기간 중에 한두 번 정도 일어나거나 전체 시간에서 25%까지 일어나는 경우를, ‘가끔’은 26~50% 수준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뜻해. 그 이상이 지속되면 ‘계속’이나 그 사건이 항상 일어난다고 말하지. 오후에 비가 온다고 하면 12시~18시 사이에 3시간 이상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센트럴 피크’라는 작품이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으로 선정됐다. 티코 센트럴 피크는 전체 지름이 82km에 달하는 티코 크레이터의 내부에 있는 봉으로, 지름이 약 15km이고 높이는 2km에 달한다.2위로 선정된 사진은 린네 크레이터의 지형을 아름답게 묘사한 사진이다. 린네 크레이터는 생성된지 얼마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모든 자원을 재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우리의 기술만으로 화성 전체라는 넓은 지역 전체를 통제할 수는 없다. 먼저 우리가 거주하는 곳부터 시작하는 게 순서다. 바이오돔 안에서 우리는 완벽한 재활용, 재사용 원칙에 따라 생활하고 있다.영화에서와 같이, 공기제조 장치를 이용하면 얼마간의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에 전기료가 많이 드는 이유는 공기를 빠르게 순환시키기 때문이다. BL3는 1시간에 실험실 전체 공기를 10번 갈아치운다(BL4는 20번). 실험실 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데, 공기가 계속 바뀌니 에어컨(또는 난방기)을 무한대로 틀어야한다. 야외에 놓은 에어컨, 문 열어놓은 냉장고와 같은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