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래 1976년에 드디어 쌀 자급에 성공했다. 그 해 수확량은 3621만 석이었다. 1978년에는 전체 벼 재배 면적의 76.2%에서 통일벼를 재배했고 평균 생산량도 500kg가까이 뛰어올랐다. 드디어 하얀 쌀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게 됐다. 2014년 세계화 속에 살아남기통일벼 전성시대는 10년을 넘기지 못했다.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위한 구조역학 등을 공부하니 수학이나 물리를 잘하면 좋습니다.해양공학은 바다 전체를 활용하는 학문입니다. 바다 속 광물이나 어업자원을 효과적으로 채집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파력이나 풍력 같은 에너지도 연구합니다. 바다의 넓은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도 배웁니다. 바다 위에 거대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해조류가 지구에서 발생하는 산소의 70%를 만든다고 하니 바다뿐 아니라 지구 전체를 깨끗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겠죠? 특히 다시마는 지구에 있는 식물 가운데 광합성 능력이 가장 뛰어나요.해조류 숲은 물고기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집이 되기도 해요. 물고기들은 해조류 숲 사이에 알을 낳고 그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온다고 할 때도 헷갈리지? ‘한때’는 지정된 기간 중에 한두 번 정도 일어나거나 전체 시간에서 25%까지 일어나는 경우를, ‘가끔’은 26~50% 수준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뜻해. 그 이상이 지속되면 ‘계속’이나 그 사건이 항상 일어난다고 말하지. 오후에 비가 온다고 하면 12시~18시 사이에 3시간 이상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평면 위에 그려진 지도에서 이웃하는 영역은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한다’는 조건에서 전체 지도를 오직 4가지 색으로 색칠할 수 있느냐는 물음의 답을 구하는 문제다. 이 문제는 1870년경에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가 처음 제시했다. 이후 영국의 수학자 드 모르간부터 독일의 수학자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센트럴 피크’라는 작품이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으로 선정됐다. 티코 센트럴 피크는 전체 지름이 82km에 달하는 티코 크레이터의 내부에 있는 봉으로, 지름이 약 15km이고 높이는 2km에 달한다.2위로 선정된 사진은 린네 크레이터의 지형을 아름답게 묘사한 사진이다. 린네 크레이터는 생성된지 얼마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가져갔고, 남은 부분을 올해 발굴하는 중이었다. 허벅지뼈는 길이가 1.5m로 몸 전체 길이는 약 15~20m로 추정됐다. 이 관장은 “이 지역에서 용각류 공룡이 나온 적이 없어 신종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중간중간 질문하고 사진 찍는 시간을 제외하곤 모조리 삽과 망치, 송곳으로 발굴을 했다. 삽은 ...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조종사 2명과 여행객 6명이 탈 수 있다. 대신 전체 시스템이 복잡해 가격이 더 비싸다. 전체 비행 시간은 약 2시간 30분.2. 국제우주정거장 왕복여행우주를 본격적으로 깊숙이 느껴보고 싶다면 프리미엄여행에 도전하자. 지금까지 여러 우주인들이 여행한 코스로, 결코 만만치 않다. 지구 저궤도(고도 3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원리에 따라 큰 반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화포에 충격을 덜 주도록 발사시 포신 전체가 뒤로 후퇴하게 만들어졌다(영화에서 조선 화포가 반동이 없는 것은 옥의 티다). 판옥선은 갑판이 평평하고 넓어서 반동을 감당할 수 있었지만, 세키부네는 갑판이 좁고 배의 내구성이 약해 화포를 쓰기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각각의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