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결정적인 증거는 지문이다. 1880년 영국 외과의사였던 헨리 포즈는 지문의 중요성에 대한
논문
을 최초로 발표했다. 1892년 영국의 유전·통계학자 프랜시스 골튼이 ‘핑거프린트(지문)’라는 책을 펴내면서 지문이 실제 수사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골튼은 이 책에서 사람마다 지문이 모두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모른다. 이미 1903년 찌알꼽스끼가 ‘반작용 기구에 의한 우주탐험’이라는
논문
을 발표한 것을 감안하면, 50년이 지난 1957년 러시아가 스푸트니크를 발사한 것은 그리 놀랄 일도 아니지 않을까. 스푸트니크 위성의 발사가 1957년이었던 것도 찌알꼽스끼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시기를 맞춘 ... ...
효모 인공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단세포 생물인 효모의 세포표면을 코팅해 인공포자로 만드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효모를 이용해 진단이나 유해물질 검출에 쓰이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할 수 ... 참여했다. [단세포 생물인 효모를 인공포자로 만드는 연구결과가 미국화학회지의 표지
논문
으로 실렸다.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선수와 과학자의 수 자체도 굉장히 클 뿐 아니라, 이들이 만들어낸 홈런과 삼진,
논문
의 수도 어마어마한 양이다. 따라서 이런 자료의 분석은 컴퓨터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고, 자연과학자와 공학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방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모델링해 미래를 예측하는 데 수학자와 물리학자의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부등식에 대해 나름의 이해와 요령 있는 자신만의 풀이 방법을 제시한 사례가 있었다.
논문
형 - ‘여러 가지 부등식의 탐구’ 중 일부 함수와 그래프이론(부등식의 영역)에 대해 알아보자. 부등식은 함수에서 한 부분의 넓이를 이야기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어떤 함수 y=f(x)의 아랫부분을 y<f(x),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있습니다. 신종플루를 예방하기 위한 최고의 백신은 바로 웃음입니다.”웃음을 다룬
논문
은 많지만 책으로 펴낸 경우는 외국에서도 드물다. 실제로 해외에도 두 권의 전문서만 나와 있을 뿐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웃음 전문가’인 인기 개그맨이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시건대 인류학과 교수는 1994년에 호모 에렉투스 종명을 없애자는
논문
을 내고 그 이후
논문
에서 모든 호모 속의 집단들을 호모 사피엔스로 불렀다. 1999년에는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루돌펜시스마저 오스트랄로피테 쿠스 속으로 분류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이 주장대로 하면 정말 호모 속에는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따라서 아메바 선생님은 엄연히 농부입니다.아메바: 감사합니다. 사실 연구자들이
논문
제목에 ‘원시적인’이라는 표현을 쓴 건 저희가 농사를 효율적으로 지으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단세포 생물이 이 정도 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사회자: 오늘 정말 여러 곳에서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물리학자 리차드 파인만이 1959년에 발표한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이란
논문
을 보면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마이크로미터 세계에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 이상의 세상이 존재할 거라고 한다. 이것이 현재의 MEMS 및 나노 기술의 시발점이 됐다.연구실 분위기는 자유로운 토론과 자율권이 ... ...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30% 선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반영하지 않고 선발한다. 최근 입학한 학생들은 올림피아드 준비 보다는 자기
논문
연구에 몰두하는 학생들이 많다. 과학고는 조기졸업을 염두에 두고, 2년 안에 심화수업을 마쳐야 해서 마음이 바빴다. 영재고에서는 3년 과정을 체계적으로 거칠 수 있어 더 여유롭고 현실적인 수업을 할 수 있게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