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연속운전 달성 등 국내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ITER 이후의 실증단계에서도 핵융합
에너지
개발을 주도할 수 있도록 사전에 체계적으로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권영국 UNIST 교수팀, 고성능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안정성도 동시에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에 지난해 12월 23일 온라인으로 공개됐고,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지난 10일 출판됐다. ■ 감종훈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21세기 말 파키스탄 하천 유량이 3배 빨라질 것이란 예측을 21일 ... ...
[과학게시판] '게임체인저, 양자' 현장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주요 영상은 이달 말부터 과기정통부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된다. ■ 한국핵융합
에너지
연구원은 오는 24일까지 경기도 광주 곤지암리조트에서 '플라스마 과학 및 공학도 교류회'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플라스마 물리·공학을 공부하는 전국 대학원생 80여명이 ... ...
'페로브스카이트' 세계 최고 기술 보유 한국...상용화 지원은 '초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스위프트솔라’는 지금까지 1000억원 가량의 투자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프런티어
에너지
솔루션의 투자 규모가 3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분야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 교수팀이 2020년 설립한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벤처 ‘에스엔디스플레이’는 201 ... ...
지구자기장보다 30만배 높은 자석으로 암흑물질 증거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장치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가속기(LHC)도 대통일 이론을 검증하기에는
에너지
가 부족한 상황이다. 대통일 이론을 기반으로 예측한 액시온 암흑물질인 'DFSZ 액시온'을 찾으면 대통일 이론을 지지할 수 있는 증거로 삼을 수 있다. DFSZ 액시온은 김진의 경희대 석좌교수가 제안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갑각류 눈에 달린 나노 사이즈 반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7일 갓 태어난 갑각류를 묘사한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갑각류는 게나 바닷가재 등을 이르는 말이다. 갓 태 ... 몸을 은폐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 반사경을 모방하면 효율적인 태양
에너지
기술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유전자 조작 나무가 탄소 더 흡수할까...미국서 첫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리빙카본은 외래 유전자를 집어넣는 기술인 '유전자 총'을 활용해 나무가 광호흡에
에너지
를 덜 사용하도록 하는 외래 유전자를 포플러 나무 DNA에 삽입했다. 외래 유전자는 호박과 녹조로부터 얻었다. 연구 결과 유전자가 조작된 포플러 나무가 광합성 부산물을 광호흡에 처리하는 대신 ... ...
석상일 UNIST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태양전지 제조에 활용해 세계 최고의 효율인 26.08%를 달성했다. 미국 재생
에너지
연구소에서도 세계 최고 효율 25.73%을 달성했다는 공인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6일(현지시간) 게재됐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결정성 반도체를 박막으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최고를 꿈꾸며 꿈을 닮아가라”고 응원했다. 우수 졸업자들에게는 상장이 수여됐다.
에너지
공학과를 졸업하고 박사 학위를 받는 진다희 씨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리튬이차전지를 연구하며 지금까지 21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10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다양한 연구 성과를 이뤄냈다. ... ...
양자점 발광 효율 100% 구현 초균일 반도체 껍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및 태양광·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임재훈 성균관대
에너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연구성과를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핵 표면이 껍질로 덮인 양자점 발광체는 이론상 한 겹에 해당하는 약 0.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