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기하학적 도형이나 복잡한 계산에만 필요할 것 같지만, 오히려 최 교사는 지오지브라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라면 기본적인 문제를 푸는 데 써 보라고 제안한다. 교사와 학생 모두 조금 더 편리한 환경에서 주변을 수학적으로 탐구하며 관찰할 수 있길 바란다는 최 교사가 개발할 다음 수학 실험이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적성에 맞는 거예요. 그 다음엔 상상력이 필요해요. 내가 만들고자 하는 큰 그림을 짜고 처음부터 끝까지 단계를 구상하고 필요한 명령어를 조립할 수 있어야 하죠.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세요.언젠가 소프트웨어 전시회에 참석한 적이 있어요. 그때 전세계의 훌륭한 프로그램들을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다양한 실험을 거쳐 플라스마 생성 조건과 그 과정을 상세하게 밝힌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수분 70%와 포도의 곡면이 만든 ‘마술’ 플라스마는 이온화된 기체를 말한다. 고체와 액체, 기체 등 세 가지 물질의 기본 상태와 구분해 제4의 물질상태로 불린다. 태양의 대기로 불리는 코로나가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다”고 말했다. 나선, 3차원…천차만별 주기율표 주기율표는 중학교 교육과정에 처음 나온다. 일반적으로 주기율표는 네모 칸으로 이뤄진 표 형태로 구성돼있다. 각 원소를 성질에 따라 7개 주기, 18개 족으로 분류해 배치했다. 원소 2개(수소, 헬륨)만 있는 1주기에는 1족과 18족만 채워져 있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개럿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처음으로 임무를 수행한 유대인 우주인이자, 처음으로 한국 우주식품을 먹은 우주인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흔히 한국 우주식품을 우주에서 가장 먼저 먹은 사람은 한국 우주인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와 나는 답을 그렇게 평범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다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목적 자체가 샤오카오를 구울 사람을 정하기 위함이었는데, 고등학교 졸업 이후 처음으로 운동회 분위기를 만끽했다. 동시에 양국의 문화 차이도 느낄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친목을 다지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중국 대학생들은 모임에서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술을 잘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고 본부장은 만면에 미소를 띠며 말했다. 인터뷰가 시작된 지 40분 만에 그가 처음으로 보인 즐거운 표정이었다. 그는 “누리호를 개발하는 데 일조했다는 즐거움을 평생 안고 살아갈 것”이라며 “오랜 기간 하나씩 배우고 알아내 여기까지 온 우리 스스로가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출신 수학자 야노시 콤로시가 이 문제의 확률인 pn은 n이 커지면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처음 증명했습니다. 하지만 얼마나 0에 빠르게 가까워지는지는 알지 못했습니다. 이후 1970년대에 pn≤이라는 부등식이 충분히 큰 C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이 증명돼 그나마 보다는 빠르게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 ...
- [과학뉴스] 파리가 얼룩말 줄무늬 보고 도망가는 이유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나왔다. 이전에도 파리가 줄무늬를 싫어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그 이유가 밝혀진 건 처음이다. 팀 카로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야생동물·어류및보존생물학부 교수팀은 실외에서 얼룩말 3마리와 줄무늬가 없는 일반 말 9마리를 16시간 동안 관찰하고 영상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조합은 발견자인 야마나카 교수의 이름을 따 ‘야마나카 칵테일(OSKM)’이라고 부른다.처음에 야마나카 교수팀은 OSKM을 발현하는 유전자(OSKM 유전자)를 바이러스의 유전자 운반체인 플라스미드에 끼워 체세포의 핵 DNA에 집어넣는 방식을 개발했다. 핵 DNA에 이 플라스미드가 들어가면 체세포가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