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다”고 말했다. 나선, 3차원…천차만별 주기율표 주기율표는 중학교 교육과정에 처음 나온다. 일반적으로 주기율표는 네모 칸으로 이뤄진 표 형태로 구성돼있다. 각 원소를 성질에 따라 7개 주기, 18개 족으로 분류해 배치했다. 원소 2개(수소, 헬륨)만 있는 1주기에는 1족과 18족만 채워져 있다.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목적 자체가 샤오카오를 구울 사람을 정하기 위함이었는데, 고등학교 졸업 이후 처음으로 운동회 분위기를 만끽했다. 동시에 양국의 문화 차이도 느낄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친목을 다지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중국 대학생들은 모임에서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술을 잘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무리수 등을 포함한 실수를 배우며, 고등학교에 이르면 복소수까지 배웁니다. 그럼 처음부터 그냥 다 알려주고 계산하면 되지 왜 굳이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는 걸까요?위 식을 살펴봅시다. 초등학생이 보든 중학생이 보든 답은 ‘3’이란 걸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대답을 하기까지의 ... ...
- 시범경기. 상대의 허를 찌르는 전략 뒤에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타순이 밀리면 많게는 50타석까지 차이가 난다.또 선발 투수는 이닝을 거칠수록 잘하고, 처음에는 몸이 풀리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팀은 강타자를 앞 순서로 배치해 선발 투수를 공략하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1번 타자부터 강타자를 배치하고, 잘 치는 순서로 타순을 나열하기도 한다. 2018년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출신 수학자 야노시 콤로시가 이 문제의 확률인 pn은 n이 커지면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처음 증명했습니다. 하지만 얼마나 0에 빠르게 가까워지는지는 알지 못했습니다. 이후 1970년대에 pn≤이라는 부등식이 충분히 큰 C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이 증명돼 그나마 보다는 빠르게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 ...
- [과학뉴스] 파리가 얼룩말 줄무늬 보고 도망가는 이유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나왔다. 이전에도 파리가 줄무늬를 싫어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그 이유가 밝혀진 건 처음이다. 팀 카로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야생동물·어류및보존생물학부 교수팀은 실외에서 얼룩말 3마리와 줄무늬가 없는 일반 말 9마리를 16시간 동안 관찰하고 영상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또 록밴드 허클베리핀은 이 축제를 위해 ‘동물의 사육제’라는 노래를 작곡해 처음으로 선보였지요. 축제를 기획한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동축반축을 통해 관람객들이 동물을 직접 이용하지 않아도 동물에 대해 배우고 즐길 수 있단 사실을 깨닫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진행한 강선화 매화고 화학교사는 “주기율표를 알면 화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처음부터 원소 수십 개를 주기성에 맞춰 외우라고 하면 학생들이 쉽게 흥미를 잃어버린다”며 “체험 활동을 통해 먼저 주기율표와 친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강 교사는 “주기율표와 친해지려면 먼저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힘이 필요한 동작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로봇공학자들이 로봇을 만든 뒤 처음 동작 시험을 할 때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반복하게 합니다. 로보트 재권V는 초등학교 3학년 정도인 키 130cm 로봇인 만큼 다리 길이는 그 절반보다 약간 긴 70cm 정도면 되겠네요. 그리고 허벅지의 길이는 ... ...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유럽, 중남미, 북아메리카 이렇게 5개 지역으로 묶어 각각 1명씩 수상자를 뽑는다. 2019년 처음으로 자연과학 분야에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추가했다. 부아쟁 교수의 대표 업적은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가 선정한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호지 추측’에 기여한 것이다. 호지 추측은 사영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