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공장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택배의 주인이니? 그럼 조금만 더 기다려 줄래? 지금 막 우주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지구로 배달할 거거든. 아, 그런데 왜 우주에서 제품을 만들었냐고? 그럼 우선 날 따라와. 우리 우주공장을 소개할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공장이 온다 ... ...
- Part 3. 우주공장을 우주에서 짓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우주 건축가가 나타났다!망원경이나 위성 등 우주에 떠 있는 대형 구조물들은 대부분 크기가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거대한 편이에요. 그래서 로켓의 한정된 공간에 싣기 위해 접히는 구조로 만들고, 되도록이면 가볍게 설계하지만 한계가 있지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기업 ‘메 ... ...
- 달로 간 수학자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바다와 분화구에 처음 이름을 붙인 뒤로 크레이터마다 우후죽순 이름이 생겨났는데, 지구의 단체인 국제 천문 연맹에서 혼란을 막고자 달의 지명을 정리했다. 현재 이름이 붙은 크레이터는 9193개이고 그중 수학자 이름이 붙은 크레이터는 840여 개다. 가우스A, 가우스B 같은 중복을 빼면 총 107명의 ... ...
- [과학뉴스] 최초의 생명은 바로 지방?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최초의 생명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지금까지는 원시지구에 다양한 유기물질이 마구 뒤섞여 있었는데, 여기서 자신의 염기서열을 스스로 복제하는 RNA 분자가 만들어지면서 생명이 시작됐다는 학설이 인정받았다. 그런데 최근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 등 공동 연구팀은 최초의 생명체가 RNA가 ... ...
-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모른다. 태양풍은 초속 약 200km의 느린 속도로 오다가도 초속 약 750km의 매우 빠른 속도로 지구에 도달하기도 한다. 현재 과학자들은 두 번째 태양 탐사도 계획하고 있다. 2020년에는 유럽우주국(ESA)이 태양궤도선인 ‘솔로(SolO·Solar Orbiter)’를 발사할 예정이다. 라우아피 박사는 “솔로는 태양의 ... ...
- Part 2. 우주공장 제품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채로 유지할 수 있거든요. 지금도 연구에 참여한 미국, 유럽, 캐나다, 한국의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어요. 연구에 참여한 피앤지 매튜 린치 연구원은 “혼합물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더 나은 생활용품을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에디터 노트] ‘보통의 여름’을 위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5도를 넘기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게 핵심이다.최근 4년간 수치만 봐도 인류가 1도 가까이 지구 기온을 상승시키면 폭염이 강해진다. 가뭄, 홍수, 강력한 허리케인 등의 발생 횟수도 증가한다.올해 12월 폴란드 남부 카토비체에서 열리는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서는 1.5도를 ... ...
- [과학뉴스] 아프리카 거대 구름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유터 교수는 “구름은 지구 온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구름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7월 19일자에 실렸다.doi: 10.1126/science.aar583 ... ...
- [시사기획] 500유로 내고 가는 해외여행?! 과학자 유혹하는 가짜 학회실태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늘어나면서 국제 학회 활동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박기홍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는 “국제 학회에서는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전 세계 동료 과학자들을 만날 수 있어 최신 연구 동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며 “박사과정 연구원도 1년에 한 번은 국제 학회에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달과 지구 사이의 인력이 지구의 자전을 방해해 지구 자전 속도가 미세하게 늘어났던 것이다(이를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1년에 1초를 더하거나 빼는 ‘윤초’ 개념이 나왔다).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는 태양의 자전 주기 대신 공전 주기를 기준으로 한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