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아인슈타인은 1917년 자신의 중력 이론을 토대로 정지 우주모형을 만들 때, 물질 분포가 거시 규모에서 균일하고 등방하다고 가정했다. ‘아인슈타인의 우주원리’다. 물질이 우주 어디 ... 취하거나?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Part 6. 특이점 없애기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흑물질의 존재가 예측된 지 8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의 존재를 암시한 다양한 관측 증거를 암흑물질 없이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 ... 취하거나?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Part 6. 특이점 없애기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광화문 촛불집회를 높은 건물 위에서 바라본다고 생각해 보자. 시위가 무르익어 촛불 파도타기를 하려고 한다. 사회자가 “출발!”이라고 외치면 촛불을 든 개인들은 모두 앞 ... 버리거나 취하거나?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Part 6. 특이점 없애기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조건을 만들어 놓고 나오는 순간 보이는 흔적을 포착하는 방식이다. 힉스나 쿼크 등 우주의 힘과 물질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기본입자는 이런 방식으로 발견했다.반면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인공적으로 만들려고 시도하는 학자들도 있다. 고체와 액정, 반도체 내부의 전자와 정공 등 응집된 물질에서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상관없이 작동한다고 설명되어 있던 제안서를 이해했습니다.어금니를 꽉 물었지요.우주선의 문이 닫힐 때 저는 남선 오빠에게 고함을 질렀습니다.“너 그러다 망한다? 그렇게 원칙도 윤리도 없이 막 살다가 망한다? 너 같은 놈들 때문에 지구가 끝난 거다?”끝까지 빙글빙글 웃는 얼굴이더라고요. ... ...
- Part 3. 자기장과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속 소음으로 지구 속을 본다?스웜 위성이 우주에서 지구 내부를 봤다면, 미국스탠포드대학교 나카타 노리 박사팀은 가까운 일상 진동을 이용해 지구 내부를 봤어요.지진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는 퍼져나가면서 땅 속 암석들에 의해 모양이 변해요. 이를 통해 지구 내부 구조를 짐작할 수 있지요.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쏘아 올렸어요. 그 결과 위성의 속도가 빠를때는 시간이 느리게 가고, 중력이 약한 우주에서는 시간이 빠르게 간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지난 2010년에는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땅에서 33cm만 높아져도 시간이 10경(1017)분의 4초 빨라진다는 걸 확인하기도 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또 다른 잡음 문제평탄도 문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동안 방해물에 의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을 ...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큰 흐름을 갖습니다. 과학을 통해 ‘미래’를 보는 게 한 가지 흐름이고, 인류, 지구, 우주의 ‘기원’을 찾아가는 게 다른 한 가지 흐름입니다. 2017년 과학동아는 이 두 축에 따라 기사를 정렬해, 멀리 보고 깊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과학기자의 눈에 비친 정치, 경제 등 사회 이슈 속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