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를 떠돌고 있는 수많은 신호. 이 떠돌이 신호는 우주의 신비를 품고 있다. 하지만 이를 관측하지 못하고, 기록해서 분석할 수 없다면 아무 것도 알아낼 수 없다. 인류 ...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 ...
- 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또 다른 잡음 문제평탄도 문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동안 방해물에 의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을 ...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수학동아 l2017년 01호
- 1970년대 영국에는 여왕이 두 명 있었습니다. 왕실 안에서는 군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관료들을 지휘했고, 왕실 밖에서는 록밴드 ‘퀸( ... 곡의 마지막 부분에는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상대성이론처럼 노래 속 우주인이 잠시 우주 탐험을 다녀온 사이에 지구는 수십 년이나 흘렀나 봅니다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큰 흐름을 갖습니다. 과학을 통해 ‘미래’를 보는 게 한 가지 흐름이고, 인류, 지구, 우주의 ‘기원’을 찾아가는 게 다른 한 가지 흐름입니다. 2017년 과학동아는 이 두 축에 따라 기사를 정렬해, 멀리 보고 깊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과학기자의 눈에 비친 정치, 경제 등 사회 이슈 속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개발로 연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NASA는 그 외에도 민간 전문가와 과학자로부터 우주개발에 관련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모으는 ‘이노베이티브 어드밴스드 콘셉트’, 달에 보낼 큐브셋을 디자인하는 ‘큐브 퀘스트 챌린지’ 등 메이커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열고 있다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 연구원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드는 무게를 조금씩 늘려서 근육을 키우듯이, 우주선 게임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들어서 뇌 강화학습을 통해 뇌가 긍정적인 뇌파 패턴을 유지하도록 만든다”고 덧붙였다. 게임 중간에 보석이 갑자기 튀어나오게 하는 것도 주의력을 강화하는 훈련 중 하나였다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흑에너지는 ‘우주에 퍼져있으면서 척력을 일으키는 무언가’라는 것 외엔 아무런 단서가 없다. 과학자들은 ‘우리가 중력을 잘못 알고 있는 건 아닐까’라고 생각해 중력 ... 버리거나 취하거나?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Part 6. 특이점 없애기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광화문 촛불집회를 높은 건물 위에서 바라본다고 생각해 보자. 시위가 무르익어 촛불 파도타기를 하려고 한다. 사회자가 “출발!”이라고 외치면 촛불을 든 개인들은 모두 앞 ... 버리거나 취하거나?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Part 6. 특이점 없애기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표했다(doi:10.1038/nclimate1068). 복사강제력이란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에너지와 우주로 방출시키는 에너지의 차이다. 만약 이 값이 0보다 크면 지구가 흡수하는 햇빛이 더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연구 결과, 자연적으로 생긴 권운은 약 -7mW/m2였다. 대부분 수증기로 이뤄져 있어서 오히려 지구를 식히는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