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바다
’에요. 아래쪽에 풍요의
바다
가 보이죠? 그 위 그림자에 반쯤 가린 부분이 ‘맑음의
바다
’에요.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처음 발을 디딘 곳이죠.”기자가 달나라 여행 삼매경에 빠진 이곳은 경기도 양평에 있는 양평국제천문대다. 천문대의 ‘별지기’ 이효산 과장이 망원경 조작부터 ... ...
바다
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하고, 직선 형태로 해안선을 만드는 사업을 규제하는 방안을 건의할 계획이다.
바다
의 ‘젖줄’인 하구역은 곧 우리들의 ‘생명줄’이기도 하다. 인류의 ‘생명줄’을 복원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연구하는 하구역기능회복연구단의 활약을 기대해본다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盲囊)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넓게는 흡수불량증 후군의 하나이다 남캘리포니아 앞
바다
에서 하와이 제도 북부에 걸쳐 거의 동서로 뻗은 길이 3,000km의 단열대 단열대의 서부에서는 가파른 면을 마주 향하고 있는 두 비대칭산맥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서는 북쪽의 산맥이 소실되고 남쪽 산맥의 ... ...
바다
를 누비는 수중 글라이더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어떻게 움직이는 건가요?나는 깊이에 따른 바닷물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동력을 얻어요.
바다
표면 가까이의 따뜻한 물과 깊은 곳의 차가운 물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 내 안의 왁스 튜브가 팽창했다 수축하며 펌프를 작동시키죠. 그 결과 톱니와 같은 궤적을 그리며 해수층 사이를 오르내리게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름과 함께 커다란 시계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천문대의 남쪽으로 펼쳐진
바다
에는 일본교량공학의 상징인 아카시대교가 본토와 아와지마섬을 연결하고 있다.보현산천문대가 있는 영천에 사는 사람들이 그렇듯이 효고현의 사요 지역 사람들은 자기 고장에 천문대가 있다는 사실을 매우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일종으로, 껍데기는 얇고 매끈하며 나사못처럼 S자형으로 굽어 있다비교적 먼
바다
의 퇴적층에서 발견된다 전파분류의 한 구분으로서 주파수 30~300MHz, 파장 1~10m 범위의 전파 약호는 UHF 텔레비전 · 자동전화기 · 레이더 · 고정통신 등에 이용된다 통신기기를 조정하고 음성전류 등을 감시하기 위한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말이다. 카메라 앞에 적절한 망원렌즈를 추가한다면 서울 상공에서 부산 해운대 앞
바다
(약 400km 거리)의 갈매기가 몇 마리인지 내다보는 ‘천리안’도 가능하지 않을까.밤만 되면 앞을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의 눈은 가시광선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전남 해남과 진도 사이에 위치한 울돌목. 1597년 명량해전 당시 이순신 장군은 이곳에서 배 13척으로 왜선 130여척을 물리쳤다. 10배에 이르는 ... 덕분에 곧 세계 최대 규모의 조류발전소와 환경친화적 조력발전소가 한반도에 들어선다.
바다
가 만들어낼 초록에너지의 힘찬 도약을 주목해보자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포항
바다
를 찾기도 한다.그는 “포항은 서울과 멀리 떨어져있는 대신 깨끗한 산과
바다
에 둘러싸여있어 그 어느 곳보다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말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단백질의 구석구석을 스케치하듯 그려내는 이들의 노력이 밑거름돼 훗날 암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신약이 탄생하지 ... ...
추운 나라에서 온 손님, 겨울철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날갯짓할 때 생기는 기류를 뒤에서 받으며 날면 힘이 덜 들지요. 겨울철새들은 강이나
바다
, 또는 추수가 끝난 논에서 물고기나 떨어진 알곡을 먹고 살아요. 혹시 호수나 논에서 쉬고 있는 겨울철새들을 보더라도 돌을 던지거나 큰 소리로 쫓지 마세요. 조금 있으면 다시 추운 나라로 돌아가기 위해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