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아담과 이브도 모든 로봇의 조상이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아트보트 전시회는 지
난
해에 이어 두번째인데, 첫해에 10개의 작품을 6백여명이 관람한 것이 올해는 22개의 작품에 관람객이 2천명을 넘을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MEART가 그린 초상화들은 아트보트 전시회를 마치고나서 7월 17일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물방울은 프리즘 역할을 한다. 빛이 물방울을 통과한 후 여러가지 색깔로 분리돼 나타
난
것이 바로 무지개다.검은 도화지에 붙인 미세한 유리구슬은 공기 중에 떠있는 물방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 불빛을 도화지에 가까이 하거나 해를 등진 채 도화지를 들고 보면 도화지에 붙어 있는 유리구슬에서 ... ...
천하무적 풍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않는다. 스카치테이프가 풍선에
난
구멍이 넓어지지 않게 잡아주기 때문이다. 또 구멍
난
곳을 바늘이 메워 주고 있기 때문에 풍선에서 바람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동시에 찌른 안쪽 풍선은 테이프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터진다.뚝딱 실험2 불에 갖다대도 터지지 않는 풍선■ 왜 그럴까?!풍선에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몸매를 이상으로 삼는다. 우리로서는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지구 온
난
화가 계속된다면, 수만년 뒤에는 한국인들도 늘씬한 체형으로 바뀌어 있지 않을까.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체온조절 경로포유류나 조류 같은 항온동물은 어느 범위 내에서 체온을 유지해야만 살 수 있다. 물론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L당 접촉면적도 스프링클러가 2m2 이하인데 비해 물 분무는 2백m2이나 된다. 유 교수는 지
난
2년 동안 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물 분무 노즐을 개발, 한전 변압기실에 설치 운용중이다.포그텍사는 새로 건설되는 프랑스의 유로터널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유조차 등 인화성물질 운반 차량은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등이 있고 권태감 · 현기증 · 두통 · 귀울림 · 시력장애 · 경련 ·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
난
다 해안에 거의 평행하여 낮은 기복(起伏)이 이어지는 해안평야 침식작용이 진행된 해안평야는 지층의 경사에 비해 지표면의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삭박면(削剝面)에는 지층의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백문이 불여일견, 즉 ‘백번 듣는 것이 한번 보고 확인하는 것만 못하다’라는 말이 있다. 사람이 사물을 인식할 때 눈으로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과연 눈에 보이 ... 보이는 현상을 같은 이치로 설명하기도 한다.감각기관인 눈과 심리적 요인이 결합돼 일어
난
오류다 ... ...
스스로 범인임을 드러내는 거짓말 행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모른다’ 또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는 핑계는 괜히 거짓말로 둘러댔다가 탄로 나면
난
처하기 때문에 범인이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다. 진실한 용의자는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설명하려고 할 뿐 자신이 범인으로 몰리는데 별로 걱정하지 않아 말을 길게 하지만, 거짓말을 하는 용의자는 단서를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최초로 만들었지만 당시의 사람들은 구입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로부터 22년이 지
난
1928년에야 풍선껌은 사람들에게 전파됐다. 프랭크 플리어 사에 근무하던 미국의 월터 다이머가 풍선껌에 분홍색 색소를 첨가해 제조했던 덕분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풍선껌이 유럽의 암시장에서 거래되기도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통해 많은 보람과 과학기술인으로서의 긍지를 느꼈으며, 강연이나 멘토링에 참여하고
난
뒤 더욱 이 사업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고 조사됐다.한국과학문화재단·동아사이언스·동아일보가 주최하고 과학기술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후원한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은 5월로 그 일정이 일단락됐다.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