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점이 결정되기 때문이다.올해의 관측조건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18일, 하현을 조금 지
난
달이 사자자리의 한가운데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달빛이 그리 강하지 않다는 점이 위안이라 하겠다. 해마다 사자자리 유성우를 관측했던 많은 사람들이 올해에도 한번 더 관심을 갖기를 부탁드린다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이뤄지고 있다.김봉한 박사의 관찰에 따르면 산알은 봉한관을 따라 흐르다가 상처가
난
부위에 가서그 부위의 세포로 분화된다고 한다. 그의 논문에서는 간세포로의 분화와 혈구세포로의 분화 관찰이 자세히 기술돼 있다. 이런 내용들은 기존의 한의학적 기능 연구를 넘어서 최신 생물학과 의학의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않게 근육을 움직이거나 의미 없는 소리를 내는 장애로 주로 얼굴, 목, 어깨에서 나타
난
다주파수가 2만Hz(헤르츠) 이상이고, 사람의 귀로는 소리로서 느낄 수 없는 음파 그중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것은 가청음(可聽音)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동물중에서는 이런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어느날 산소로 호흡하는 박테리아가 이 생물체 속으로 들어왔다. 약 20억년 전에 일어
난
이 사건으로 세포는 섭취한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분해해 에너지를 얻게 됐다. 이때 들어온 박테리아가 진핵세포의 호흡을 담당하는 세포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다. 이렇게 새 손님을 맞은 생명체가 바로 ... ...
1 예수의 동생 유골함은 가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감옥에 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다”라며 골란에 대한 부당한 공격이라고 비
난
했다. 성서고고학리뷰 9/10월호도 문화재청 조사위원회 인적구성의 공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예수의 시신을 감싼 것이라는 토리노 성의엔 예수의 얼굴이 나타나있다고 한다. 그러나 1988년 ... ...
얇은 피부 속 5층 구조 눈꺼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콩다래끼(산립종)라고 한다. 콩다래끼가 커지면 안구를 압박해 시력저하를 일으키는
난
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 별도의 병원 치료가 필요하다.건막을 피부에 붙이는 쌍꺼풀 수술안구가 들어있는 뼈와 눈꺼풀 사이는 막으로 구분돼 있어 지방층이 앞으로 나오지 못하게 막고 있다. 그런데 나이가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소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위아래 전극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교차하는 부분에서 캐티
난
유기분자가 전자를 받았을 때와 전자를 잃었을 때 고리 모양이 달라지면서 0 또는 1을 의미하는 두가지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따라서 좁은 공간에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이 많을수록 소자의 집적도를 높일 수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병이란 한마디로 단백질의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우리나라에서도 지
난
2002년 7월 21세기 프런티어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발족시켜 본격적으로 단백질연구 대열에 진입했다. 그러기에 인류에게 남겨진 마지막 숙제인 단백질의 비밀을 찾아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생겼다.이날 마지막 일정인 금강하구 둑에 도착한 시간은 오후 6시경. 이곳에는 유
난
히 도요가 많았다. 도요는 갯벌의 지표가 되는 새다. 게가 많은 갯벌에는 아래쪽으로 휘어진 부리를 갯벌에 푹 박아 게를 잡아먹는 알락꼬리마도요가 많이 찾아온다. 얼굴-목-배까지 이어진 검은 줄이 있는 개꿩은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곳에서도 식인 풍습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못한다. 더욱이 인류 역사상 나타
난
식인 행위나 풍습은 단순히 유물론적으로 설명하기에는 지나치게 다양하다. 이런 점에서 식인 풍습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식인 풍습의 동기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일 듯하다.다양한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