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느리게 하면 매우 재미있는 결과가 생김을 알았다.속도가 느려진 중성자는 원자 내부를
통과
할 때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원자핵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 또 속도가 느려지면 파장이 길어지므로 중성자의 부피가 커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결국 속도가 느린 중성자는 ... ...
공동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누어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빛이 밀도가 다른 대기층을
통과
하면서 불규칙하게 굴절돼 도깨비불로 보인다는 것이다.아직 어느 이론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도깨비불의 정체는 미구에 밝혀질 것이다. 그러나 도깨비까지 사라지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손때 묻은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세이건의 아이디어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태아가 세상에 나오기 위해 고통스럽게 산도를
통과
하는 것이 임사체험에서 묘사된 터널을 지나가는 것처럼 결코 평화로운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임사체험자 중에 상당수가 제왕절개로 태어났음이 밝혀졌기 때문이다.터널에 대한 또다른 설명은 ... ...
20세기 의복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빵이 눌지 않는 테플론 코팅 프라이팬이 나왔고, 1970년대 중반에는 공기는 통하는데 물은
통과
할 수 없는 숨쉬는 옷감이 개발됐다. 이것은 스키복과 방한캠핑복에 널리 활용됐다.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였던 존 글렌이 입었던 우주복에도 테플론이 코팅됐다.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이 부식되지 않고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만든다. 만일 점액이 잘 분비되지 않거나 끈끈한 정도가 지나치면 정자가 이곳을
통과
하기 어렵다. 제아무리 정자와 난자가 건강해도 이들이 만날 기회가 사라지는 셈이다.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인공수정이다. 남성에게서 성숙한 정자를 얻은 후 가느다란 관을 통해 이를 여성의 자궁 안으로 직접 ... ...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다. 하지만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지금은 태양이 10월 31일-11월 23일 사이에 천칭자리를
통과
한다. 알파별은 황도에서 20분 위에 있어 태양은 매년 11월 8일에 여기를 스쳐 지난다. 알파별은 황도상에 위치하므로 달에 가려지는 성식도 종종 일어난다. 베타별은 시력이 좋은 사람들에게는 녹색으로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작은 구멍을 내는 것과 유사하다. 햇빛 대신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을 렌즈에
통과
시켜 매우 작은 크기로 만들어 매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매체에 물리적인 변화를 일으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다.가장 먼저 실생활에 사용된 광기록 매체는 레이저디스크(LD, 1972년, 필립스사, MCA사)이다.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다. 모세가 이집트인 감독관을 죽이고 미디안(아라비아 북서부지역)으로 도망치면서
통과
한 곳이 나일강 유역의 수에즈만 부근이었다. 그리고 망명 기간에 이곳의 자연현상에 대해 많은 지식을 쌓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언제 해할이 일어날지 미리 알고서 히브리인들을 이곳으로 데리고 왔을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점이었던 모양이 점점 커져 삼각형의 크기가 커진다. 삼각기둥이 평면에 수직으로
통과
하면 그 평면에서는 항상 삼각형으로 인식된다. 이를 놓고 볼 때 관점에 따라서는 이 세 우주가 같은 체의 일부일 수 있다는 상상도 해봄직하다. 위의 재미있는 상상들이 혹시 맞아 떨어진다면 어떤 일이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는 백색광이지만, 물방울로 들어가면 색깔별로 꺾이는 정도가 달라 퍼진다. 프리즘을
통과
한 빛에서도 무지개를 볼 수 있는 이유다. 그러고 보면 물방울은 작은 프리즘인 셈이다.색깔별로 퍼진 채로 물방울 안에서 진행하던 빛은 물방울과 공기의 경계면에서는 반사한다. 물론 그 중 일부는 공기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