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조지 배스 박사는 해저 탐사기술을 발전시켰어. 1982년 터키해안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난파선을 발굴했어. 이 배는 지중해를 오가던 기원전 14세기의 무역선으로 청동기시대 무역상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줬단다. 이 배의 별명은 ‘고고학자의 꿈’ 인데, 다음꿈은 여러분이 찾아 줘 ... ...
독도는 새똥이 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새똥은 식물이 자라거나 새들이 보금자리를 짓기 위한 흙의 재료가 된다. 독도는 아주
오래
전 바다 속 화산이 분출할 때 화산재가 쌓이고 쌓여 치솟은 섬이다. 이 때문에 독도에는 흙이 거의 없다. 바위에 붙어사는 풀은 쉽게 볼 수 있지만 뿌리를 깊게 내리고 사는 나무를 찾아보기 힘든 이유다 ... ...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재생의 상징.고향 : 이집트의 아라비아사막, 중국괴 박사의 분석예나 지금이나 인간의
오래
살고 싶은 욕망은 같나보다. 하지만 정말 영원히 죽지 않을 수 있을까?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염색체의 끝 부분에는 염색체를 보호하는 텔로미어가 있다. 마치 펜을 보호하는 펜 뚜껑처럼 말이다. 이것은 ... ...
후들후들~ 기숙사 귀신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자는 거죠. 원래 밤에는 멜라토닌이 나와서 배가 고프지 않아야해요. 하지만 몽유병이
오래
되면 뇌가 낮과 밤을 헷갈려 해서 밤에 멜라토닌이 제대로 나오질 않아요. 그 결과 배가 고프다고 느끼는 겁니다.”“세상에! 그럼, 귀신이 아니라 몽유병 환자?”그 사이 냥냥이 옆방 몽이의 상태를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시작하는 쌍둥이 형제. 자신들을 왕상상, 왕공상이라고 소개한 쌍둥이 형제는 마을에
오래
전부터 내려오는 이야기부터 들려주기 시작했다.“한밤중에 쿵~ 하는 소리가 나면서 구멍이 생기거나 커지는데, 그건 땅 속에 살던 이무기가 이 구멍을 통해 하늘로 올라갔기 때문이래요.”“하지만 ... ...
1시간 30분의 짜릿한 우주 관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통해서 파랗게 빛나는 지구를 볼 수 있답니다. 관광객은 모두 4명이에요.그럼 얼마나
오래
우주 관광을 하는 거예요?1시간 30분이죠.너무 짧아요. 좀 더 길게 해 주세요.앞으로 기술이 발전하면 더 길어지겠죠. 미래에는 하룻밤쯤 잘 수도 있을 거예요. 그건 그렇고 한 번 관광에 얼마나 하는지 아세요? ... ...
여름의 적을 이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쉬어야 해요. 아무리 날씨가 더워도 물은 언제나 체온보다 차갑기 때문에 물 속에 너무
오래
있으면 저체온증이 와서 위험해요.또 물에서 움직이는 것은 땅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4배나 에너지 소모가 많기 때문에 쉬는 것이 중요하죠. 아무리 신나고 재미있더라도 50분 놀면 최소한 10분은 밖으로 ... ...
비누는 물고기 떼의 '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사람이나 동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물고기가 4-NP에
오래
노출되면 여성호르몬이 과다증식하는 부작용이 일어난다. 유럽연합을 포함한 선진국은 4-NP 허용기준을 0.0005~0.001ppm으로 정해놓고 있다.연구팀은 4-NP가 미치는 다른 영향을 알아내기 위해 항상 무리를 지어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바로 폴리아세틸렌, 아니 정확히는 도핑된 폴리아세틸렌이야. 사실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오래
전부터 폴리아세틸렌이 전기를 통할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제기됐어.1977년 일본 도쿄기술연구소 시라카와 히데키교수팀이 폴리아세틸렌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하던 중 기적이 찾아왔지. 폴리아세틸렌은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보낸다.□휴대전화가 없는 나를 상상하기 어렵다.□수신 상태가 좋지 않는 곳에는
오래
머물고 싶지 않다.□전화가 오지 않더라도 자주 휴대전화를 꺼내 확인한다.□문자메시지를 보냈는데 바로 답장이 안 오면 짜증난다.□만나서 대화하는 것보다 전화가, 전화보다 문자메시지가 편하다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