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내가 주인이 되는 재미있는 수학 공부, 율곡중학교 오선영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말해요. ‘저를 포기하지 않아 주셔서 너무 감사하다’고요. 수학을 잘하는 학생에게는 모두가 관심이 많아요. 부모님도 사회도 말이죠. 하지만 수학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늘 찬밥신세예요. 자기주도의 씨앗에 계속 관심을 주고 물을 주면 누구나 그 결실을 맺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요.”혹시 ... ...
- 탄생 100주년 기념 총출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딱 100년이 되는 해를 맞았습니다! 이를 기념해 학계에서 주목 받는 로봇들이 모였는데요. 모두 자기가 앞으로 100년 뒤 로봇의 미래를 책임질 것이라고 큰소리를 치고 있네요. 함께 가서 들어보시죠!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탄생 100주년 기념 총출동! 로봇Part1.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거든요. 전반 27분, 페루가 선제골을 넣자 열광한 사람들이 모두 집에서 발을 굴렀어요. 그 결과, 페루 지구 물리학 연구소는 규모 1.0의 지진을 관측했다고 발표했지요. 자, 760만 명의 리마 사람들이 지진을 일으켰으니, 전 세계 사람들이 한꺼번에 뛰면 지구도 흔들 수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포유류와 달리 외부 생식기가 없어 성별 확인이 쉽지 않다. 대신 교미와 산란, 배설을 모두 해결하는 총배설강이라는 기관을 갖고 있다. 특히 펭귄은 꿩이나 닭과 달리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에 큰 차이가 없어 구분이 잘 안 된다. 물론 성별을 구별하는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몸의 크기를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번에는 영양학적인 관점에서 비건 콩불구이와 언리미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두 제품 모두 가장 높은 단계인 비건 채식 제품입니다. 100g당 영양성분을 기준으로 비교해 볼까요? 비건 콩불구이에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각각 14.6g, 12g, 18.5g씩 포함된 반면 언리미트는 각각 6.4g, 3.5g, 41g으로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되는 칩을 심고 생활하죠. 다들 팔다리 하나쯤은 기계로 돼 있을 거라고 상상했습니다. 모두가 사이보그인 세상이라니 흥미로운데요. 기계화된 존재는 작품에서 ‘오토마톤’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오토마톤은 인간과 동등한 존재라고 보셨고요. 인간으로서의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 유전자를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자색고구마에 발현시켜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이 모두 풍부한 고구마를 만들었다. doi: 10.1093/jxb/ery023 곽 책임연구원은 “고구마 속 IbOr 유전자는 고온과 가뭄, 고염분에도 강하며, 모든 식물에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유학 생활이 시작됐다. 수업은 필수 과목 몇 개를 빼면 듣고 싶은 수업으로 모두 들을 수 있었다. 그토록 좋아했던 천체물리학 수업도 들었다. 이때 새벽에 학교 천문대에 올라가 천체 사진을 찍어 분석하곤 했다. 기숙사에서 자전거를 타고 수업을 들으러 가며 잠에서 깨고, 친구들과 차를 빌려 놀러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달쯤 지났을까. 합격통지서가 도착했다. 아헨공대 산업공학과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에 모두 합격했다. 사실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결과였다. 독일은 이공계 지원자가 적어 이공계열 학과의 커트라인이 높지 않다. 독일은 성적 커트라인을 1.0(최상)~4.0(최하)으로 매기는데 아헨공대 기계공학과는 3.7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구하고자 하는 넓이의 영역을 나눠야 합니다. 이렇게 구한 직사각형의 넓이를 모두 더하면 정확하지는 않아도 구하고 싶은 넓이와 비슷한 값을 구할 수 있죠. 더 정확한 넓이를 구하려면 그림②처럼 밑변이 더 짧은 직사각형으로 나누면 됩니다. 이렇게 밑변을 계속 줄여 나가다 보면 아주 작은,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