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부하한 마름모꼴의 안테나 단파의 송수신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며, 보통 지상 수m의
높이
에 대지와 평행하게 설치한다지향성이나 입력 임피던스가 넓은 주파수대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단파회선에서 낮과 밤에 주파수를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을 정밀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양호한 통풍을 위해 공지를 남겨두고 개발해야 한다. 나무와 같은 자연적인 방해물의
높이
도 바람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여야 한다.바람길 하류는 오염물질 모여한편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계획이 이뤄지면 주거지나 상업지는 가능한 대규모 단지나 고층화보다 주변지역의 여건이나 바람 흐름을 ... ...
화성의 모래언덕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찍은 이 사진은 중동 사막의 모래언덕이 연상되는 모습이지만 실제 크기는 훨씬 작아
높이
가 1m도 안된다. 모래언덕은 화성표면에 널리 분포한다. 앞으로 오퍼튜니티는 모래언덕으로 직접 이동해 좀더 상세한 자료를얻을 예정이다 ... ...
② 금메달 제조기 '스포츠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충격흡수 소재로 만들어졌다. 오르내리는 길이 많은 마라톤 코스를 고려한 것이다.장대
높이
뛰기는 새로운 장대 소재가 나올 때마다 기록이 향상됐다. 처음에 사용된 재료는 물푸레나무나 서양 호두나무다. 당시 선수들이 튼튼한 나무의 성질을 이용해 장대를 기어 올라가 3m를 넘은 경우도 있었다고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
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대 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결정은 능면체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싶을 정도로 평범해 보인다. 제대로 보려면 이제 우리는 광개토대왕이 살던 시대의 눈
높이
를 가져야 한다. 이 가운데에서 무엇이 고구려만의 독창적인 천문학을 보여주는 것일까.김 박사는 가장 먼저 동쪽과 서쪽에 있는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를 가리킨다. “이 두 별자리는 고대 중국의 ... ...
지름 35광년짜리 '슈퍼 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삐쭉삐쭉 나와 있는 기둥들을 만날 수 있다. 차가운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이 기둥들은
높이
가 4-8광년으로 다양하다. 중심별에서 나온 강렬한 자외선이 깎아낸 모습이다.마치 손가락처럼 생긴 이 기둥들 안쪽에서는 새로운 별이 태어나려고 꿈틀거리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우주의 거대한 알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8월 2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메신저’ 호를 발사했다.메신저호는 1973년 발사된 마리너10호 이후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6년반 동안 80억km를 여행한 후 오는 2011년 3월쯤 수성에 ... 이용되는 외에 모래형 주물에도 이용된다 이 합금을 자막(Zamak)이라 하며, 내식성(耐蝕性)을
높이
기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고소공포증에 시달려온 서모씨를 가상현실을 이용해 치료한 전례가 있다. 건물 3층
높이
에도 불안감을 느꼈던 서씨는 치료 후 남산 서울타워와 여의도 63빌딩 전망대에 오르는데 성공했다. 온라인을 통한 심리치료 서비스도 그 중 하나다. 불면이나 히스테리외에도 다양한 심리상태에 따라 음악을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성단이 쌍으로 겹친 형태이기 때문이다.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은 초가을 북쪽하늘에서
높이
빛난다. 그 특유의 화려한 모습이 관측자들의 눈길을 끈다.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의 공식이름은 NGC 869, NGC 884. 두 성단 중 서쪽에 위치한 것이 869로 좀더 별이 밀집돼 있다. NGC는 19세기말에 작성된 성운성단은하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