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대표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산 중턱에 30m
높이
의 관측탑을 세웠다. 관측탑의 윗부분에는 빠른 속도로 이산화탄소 농도와 바람의 수직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가스분석계와 3차원초음파풍속계가 설치돼 있다. 관측값은 거의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생산하도록 설계됐다. 짧은 시간에 많은 중성자가 튀어나오도록 노심 크기를 직경 40cm,
높이
70cm로 최대한 줄였다. 그만큼 중성자 밀도와 단위부피당 출력은 크게 올라간다. 반면 같은 출력의 발전용 원자로 보다 5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규모다. 짧고 굵게 타버린 탓에 연료는 수시로 교체된다. 이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정반대편에 위치한다. 즉, 이러한 상태에선 지구에서 보이는 목성은 밤 12시가 되면 하늘
높이
정남 방향에 떠있다. 행성이 정남에 위치하는 것을 남중이라고 하며, 밤 12시에 행성이 남중했다는 뜻은 그 행성이 충의 위치에 있다는 뜻이다.올해 충이 된 날, 지구에서 볼 때 처녀자리에 목성이 있었다고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부드러운 쿠션 위에 떨어뜨릴 때 공을 떨어뜨리는
높이
를 조금씩 높여보자. 떨어뜨리는
높이
를 높일수록 떨어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쿠션에 남는 자국도 깊어진다. 하지만 떨어지는 물체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아주 어렵다. 그래서 평평한 판을 벽에 비스듬히 기대놓고 공을 굴려 공이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루 500kg 생산건물 입구에는 예상대로 음식물쓰레기통이 즐비하다. 안으로 들어서자
높이
가 사람 키의 2배 남짓 되는 거대한 기계가 분주히 돌아가고 있다. 여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넣으면 선별기와 자석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다음 잘게 부서진다. 입자가 작아진 음식물쓰레기 대 톱밥을 3:7 ... ...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덤불과 소나무가 조화롭게 펼쳐져 있는 숲 속. 소란스러운 새들의 수다로 주변이 시끌시끌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새들의 시끄러운 대화가 뚝 그쳤어요. 숨소리조차 안 들리는 숲 속.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순간‘삐이 —’ 하는 소리와 함께 새파란 하늘 위로 누군가가 등장합니다. 바로 새들의 왕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컨셉으로 한다.마츠시타의 샤워기도 그렇다. 허리
높이
에 고정된 손잡이에서 물이 나오기 때문에 앉아서도 샤워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서서 샤워하는데 별로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고 디자인도 미려해 보기에도 좋다.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방영순 큐레이터는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커서 여러 개의 공을 동시에 받고 던질 수 있다면? 저글러가 괴력을 가져 얼마든지 공을
높이
던질 수 있어서 지금 던진 공을 내일이나 모레 쯤 받거나 아니면 언제 받을지 알 수 없다면 어떨까? 엉뚱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런 문제들을 고민하다 보면 어느 새 수학의 달인이 돼 있을지도 모른다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카셀닉 교수팀은 투명한 실린더 속에 고깃점을 담은 작은 바구니를 놓아두었다. 실린더
높이
때문에 까마귀 부리는 바구니손잡이에 닿지 못한다. 연구자들은 주변에 곧은 철사와 굽은 철사를 놓아두었다.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까마귀는 굽은 철사로 바구니를 꺼냈다.연구자들은 굽은 철사를 없앤 ... ...
전기의 웰빙선언, 직류로 돌아가자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전력 손실이 커져 3~4km 거리만 돼도 가정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어려웠다. 전압을 더
높이
올리면 전력 손실이 줄어든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당시 기술로는 직류의 전압을 더 올릴 수도 없었다.이 때 해결책을 제시한 것은 한 때 에디슨의 회사 직원이었던 테슬라였다. 테슬러는 전기가 흐르는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