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준으로 활약해 온 국제 킬로그램 원기는 표준과학계의 보물인 동시에 수치인
셈
이다.원시적인 국제 킬로그램 원기를 왜 아직까지도 갈아치우지 않았던 걸까. 킬로그램이란 질량의 단위를 현재의 방식보다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찾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액체가 된다. 곤충의 발이 분비하는 액체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작은 입자의 역할을 하는
셈
이다. 그 결과 파리는 가만히 있을 때는 액체가 고체화돼 벽에 붙어 있지만 날려고 벽 반대쪽으로 힘을 주는 순간 점성이 낮은 액체가 돼 쉽게 떨어진다.곤충들의 접착능력은 언뜻 단순한 문제처럼 보인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0만 개)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비롯한 생체물질이 작용하면서 장내 생태계가 유지되는
셈
이다. 장내 미생물이 전혀 없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하면 대사이상이나 필수 영양소 결핍, 면역계 손상, 신경계 교란 등 다양한 결함이 발견되는 이유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는 인체가 사람과 미생물의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자극을 받으면 혈액을 펌프질해 구조 전부가 뒤집히면서 불쑥 튀어나오는 냄새 방어막인
셈
이다. 냄새뿔은 시큼한 썩은 식초 냄새가 나는 방어물질인 부티르산을 방출한다. 필자의 연구소 내 애벌레 실험실에는 항상 먹이가 되는 각종 애벌레가 자라고 있어 모든 곤충 포식자들이 먹이 창고처럼 ...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암세포에만 붙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암 세포만을 선별해 표적치료를 할 수 있는
셈
이다.카타니오 박사는 “앞으로 이 단백질 윗부분을 암세포 수용체에 맞도록 변형시키면 항암제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뮤온이 검출기에 도착하기 전에 대부분 지구에 걸러진다. 지구 전체를 필터로 사용하는
셈
이다. 지구 중심을 향하고 있어도 중성미자를 관측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1초에 수백조 개의 중성미자가 우리 몸을 통과하지만 평생 동안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다. 새들도 이 3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규칙에 따라 무리를 이루고 이동하는
셈
이다. 다만 종에 따라 무리 규모가 약간씩 달라진다. 예를 들어 두루미보다는 거위가 좀 더 큰 무리를 이룬다. 이는 세 번째 원칙인 응집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무리의 크기는 종마다 다르다는 뜻이다. 새가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이에요. 시간이 지나도 떡에 촉촉한 기운이 계속 남아 있기 때문에 굳지 않는
셈
이죠. 그래서 녹을 때도 수증기가 날아가지 않습니다.”떡이 어떻게 수증기가 날아가지 않게 한다는 걸까. 한 박사는 일반 떡과 굳지 않는 떡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보여줬다. 잘라낸 단면을 보니 굳지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바이러스 껍질만 보면 스페인플루바이러스가 91년 만에 컴백한
셈
이다. 스페인플루는 단시간에 전 세계를 휩쓸며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 최악의 팬더믹으로 기록됐다. 다행히 병원성을 결정하는 부분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치사율은 신종플루가 훨씬 낮다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GM1’이라는 당지질을 수용체로 삼아 결합한다. 덱스트란이 GM1과 같은 작용을 하는
셈
이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GM1에 있는 탄화수소 결합과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설탕은 재료비가 저렴하고 나노입자를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