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몸속 면역세포가 일반 군사라면 미세교세포는 뉴런 공주를 모시는 근위대인
셈
이다.그동안 과학자들은 미세교세포가 통증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통증 역시 뉴런의 명령 때문이라고 성급하게 결론지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통증을 막기 위해 뉴런의 입을 막는 수많은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준으로 활약해 온 국제 킬로그램 원기는 표준과학계의 보물인 동시에 수치인
셈
이다.원시적인 국제 킬로그램 원기를 왜 아직까지도 갈아치우지 않았던 걸까. 킬로그램이란 질량의 단위를 현재의 방식보다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찾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0만 개)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비롯한 생체물질이 작용하면서 장내 생태계가 유지되는
셈
이다. 장내 미생물이 전혀 없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하면 대사이상이나 필수 영양소 결핍, 면역계 손상, 신경계 교란 등 다양한 결함이 발견되는 이유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는 인체가 사람과 미생물의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
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12번이었다는데서 비롯됐다.옛 바빌로니아인들이 쓴 60진법도 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왜
셈
하기 불편해 보이는 60진법을 사용했을까? 자연 현상에 관심이 많았던 바빌로니아인들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즉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360일이 걸리는 것에서 원둘레의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결과 값들도 모두 행복한 수야. 19가 1이 되기까지 거쳤던 82, 68, 100은 모두 행복한 수인
셈
이지.그런데 이런 수를 왜 행복한 수라고 부르냐고? 현재의 모습이 어떠하든 마지막은 결국 하나(1)가 되는 수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 주장대로 하면 정말 호모 속에는 사피엔스라는 하나의 종만 200만 년 동안 존재하는
셈
이 된다.현재 분자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완전대체론을 지지하고 있으며, 주류 학자들도 이쪽 입장이 많다. 하지만 지난 2~3년 사이에 나온 집단 유전학의 연구 결과와 2010년 막스플랑 크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결과적으로 두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이 뿌리세포의 분열과 뿌리 생장을 조절하는
셈
이다.임 교수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수확 신품종 작물들은 대부분 지베렐린을 합성하거나 지베렐린이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에서 변이가 생긴 것이지만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 수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비교해도 콩이 우세하다. 목초지를 만들기 위해 베어 없애는 숲의 면적을 줄일 수도 있는
셈
이다. 가축의 분뇨로 생기는 오염과 소가 내뿜는 메탄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도 줄일 수 있다.메뚜기 버거와 애벌레 튀김으로 점심을고기를 얻기 위해 소나 돼지가 아닌 다른 동물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
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많다”며 “KSTAR를 가진 것만으로도 ITER 공동 연구에서 한국은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셈
”이라고 말했다.앞으로 2019년이 되면 ITER가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한다. 핵융합 학계 동향을 살펴보면 2020년대 후반부터는 각 나라별로 시험용 핵융합 발전소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ITER는 공동연구의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