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끝에 서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기초과학분야 20~30대 과학자들의 고용불안이 심각하다.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은 연구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 다수의 비정규직 과학자들을 인터뷰해 사태의 심각함을 알아보고(1파트),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찾아봤다(2파트).▼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통해 사람도 쉽게 감염될 수 있는 변종 바이러스를 만든 것이다.연구진은 바이러스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변형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해 변종 바이러스를 만들었지만, 어떤 이들은 합성생물학의 기법을 이용하면 좀더 쉽게 변종 바이러스를 제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제작 과정은 이렇다. ...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소음과 진동을 막을 수 있는 특수한 차폐공명장치 기술이다. GPS 등 위성 정보를 활용하는 분야가 갈수록 확대되면서 위성의 영상자료를 전송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도 많다. 현재는 미국, 독일 등 일부 국가가 기술을 독점하고 있다.Mission2. 우주산업을 선점하라최근 억만장자 엘론 머스크가 소유한 ...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동성애는 전염된다”고 끈질기게 e메일을 보내왔다. 반대로, 과학과 전혀 관계 없는 분야에 종사한다고 과학적인 사고를 못하는 건 아니다. 기자가 아는 어느 국어교사는 비합리적인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 누구보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근거를 찾아 헤맨다.과학적 사고는 누구에게나 유용하다.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살모넬라균 감염자를 찾거나 붕괴 현장에서 피해자를 찾는 등 앞으로 더 다양한 분야에 영웅쥐들을 활용할 예정이랍니다. “어머! 네가 우리 뽀삐를 돌봐 준 아이구나!”차의 문을 벌컥! 열었더니 글쎄, 뽀삐가 어떤 여자의 품에 너무 행복한 모습으로 안겨 있는 거야. 알고 보니 뽀삐를 데려간 ... ...
- [수학뉴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한 앤드루 와일스,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마지막 정리를 처음 접했다고 합니다. 케임브리지대학원에서 연구한 주제인 정수론 분야의 타원곡선은 당시만 해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하지만 여러 학자의 업적이 차곡차곡 쌓여 타원곡선에 관한 추론인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이 증명되면 이를 통해 페르마의 마지막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나가며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이 있다. 그것이 바로 역문제의 철학이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역문제를 해결하며 열리게 될 미래가 궁금하다.[중력파★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체가 가속운동하면, 물체 주위로 퍼져나가는 시공간의 잔물결이다.공간이 늘었다 줄었다, 시간이 느려졌다 빨라졌다를 ... ...
- [수학동아클리닉] 삼각형의 세계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동거리를 어느 정도 짧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들로네 삼각분할은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모델링이나 3D애니메이션으로 3D입체를 만들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들로네 삼각분할과 다르게 모든 면이 서로 합동인 정삼각형으로 이뤄져야 하는 다면체도 있다. 바로 ‘델타다면체’다. 델타다면체는 모든 ... ...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서 깊은 아동 분야 학술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소아과학, 아동건강 분야 학술지 중 가장 높은 피인용지수(IF)를 자랑한다. 최근 5년 IF는 4.152로 높은 편에 속한다.주로 아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요인을 다룬 연구가 실린다. 아동학대에 대한 유명한 연구결과도 다수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학술단체가 주최하는 학회의 특별행사로 열리기 시작해 현재는 학회의 어엿한 주요 분야가 됐다. 전세계에서 15~20개 팀이 해마다 참가를 하고 있다. 세종대 팀도 2011년부터 ‘젤나가(Xelnaga, 스타크래프트 세계에서 모든 생명체를 만든 신적인 존재)’라는 이름으로 참가 중이다. 2014년부터는 IEEE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