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전문가 집단의 토론이 사회에 주는 신뢰성이 있거든요. 외국에선 물리나 화학 분야에서 활성화된 과학자 커뮤니티 사이트가 가장 먼저 나왔다고 해요. 자신의 논리를 펼치고, 깊이 있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싶은 욕구가 과학자들에게 있는 거죠. 우리나라에도 그런 사이트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럼 저처럼 전과해야 할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웃음). 현재 인기 있는 과나 주목 받는 분야에 너무 치우치지 말고 정말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찾아, 그 공부에 필요한 과로 진학하길 추천합니다 ... ...
- BRIDGE. 일+취미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학을 잘 하는 건 아니잖아요. 궁금한 게 있어서 계속 공부하는 사람이 정말 그 분야를 잘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제 책을 읽고 수학을 잘 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좋겠어요.”김 작가는 청소년을 위한 수학 소설을 준비 중이다. 빠르면 7월에 나온다고 하니 어떤 수학내용을 담아 독자의 마음을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지요. 아직은 이런 현상이 그저 소수가 가진 특이성인지, 아니면 소수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잘 모릅니다.소수는 단순히 순수 수학자의 호기심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통신을 하고 전자상거래를 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요. 너무 어려워서 사람들이 연구를 많이 하지 않았는데, 이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 가장 큰 꿈이랍니다.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해주고 싶으신 말이 있나요?수학이 그냥 문제만 푸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문제를 많이 푸는 것이 수학의 본질은 ... ...
- [재미] 제18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다. 지난 4월 13일에 있었던 총선같은 선거라든지 사회, 경제, 날씨,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통계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이처럼 통계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면서 통계청에서는 1998년부터 전국의 초등·중학생을 대상으로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초능력의 일종인 ‘초감각적 지각(ESP)’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실린 논문을, 사회심리학 분야 최고 학술지 ‘성격 및 사회심리학(JPSP)’에 발표해 파문을 일으켰다.연구팀은 참가자들을 연구실에 앉혀 놓고, 그들이 직접 볼 수 없는 컴퓨터 화면에 야한 그림을 포함한 여러 가지 그림 중 하나를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할 뿐, 꾸준한 예산이 필요하다”_ 최윤용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대리아동학대 예방분야는 예산이 정말 많이 모자라다. 현재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은 보건복지부의 예산으로 운용되고 있다. 2015년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 배당된 예산은 15억2800만 원, 올해 예산은 이보다 적은 13억8300만 원이다.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단어를 처음 만들어냈거든요. 그 전통을 이어 받아 현재는 막스플랑크연구소 중 생물 분야의 연구소가 3개나 예나에 모여 있습니다.이색 생물학 엿보는 재미그중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에서는 식물과 곤충의 상호관계를 연구합니다. 식물 중에는 곤충과 독특한 공생관계를 이루고 있는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처리한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초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장점인 빠른 속도와 빅데이터 분야의 장점인 저비용을 동시에 살리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 남 교수는 둘의 장점을 절충해 빅데이터 방식을 처음부터 뜯어 고쳐나갔다. “수십 MB의 큰 덩어리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의 분산파일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