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이 문제를 푸는 것이야말로 행운의 보물 ‘골든 티켓’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7
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벌써 2개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해의 매끄러움 유무와 P대 NP 문제를 초콜릿으로 살펴봤군요. 이쯤 되면 초콜릿이 아니라 ‘수콜릿’이라고 불러야겠습니다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당시 퀄컴은 바닥에 깔린 충전 패드 위에서
7
kWh(킬로와트시) 리튬이온배터리를 장착한 경주용 차를 약 1시간 만에 충전했다. 하지만 상용화는 쉽사리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교수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가 조금만 늘어나도 코일이 너무 커진다는 문제가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인명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그리고 같은 해 6월 26일, 미르는 수동 도킹 시험 중이던
7
톤(t)짜리 무인 화물선 ‘프로그레스 M-34’와 충돌했다. 이 화물선과의 충돌로 태양전지판이 손상됐고, 미르의 6개 모듈 중 하나인 스펙터 모듈에 3cm의 구멍이 뚫려 공기가 새기 시작했다. 다행히 사고 발생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줄어드는 추세인 반면, 중국은 오히려 급상승하고 있다. 앞으로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7
년 안에 중국이 논문 수에서는 1위를 차지할 수도 있다.최근 한국 과학자들이 중국에서 자리를 잡는 경우는 점점 늘고 있다. 특히 신흥 대학들이 젊은 한국 과학자들을 교수로 많이 채용하고 있다. 이런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태아는 언제부터 사람으로 볼 수 있을까요?”대학에서 발달생물학을 가르치고 있다고 하면 으레 받는 질문입니다. 낙태 허용과 같이 공방이 벌어지는 사회 이슈에 과학적인 ...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
7
09@georgetown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귀벌레 현상’이라 말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소설가 데스몬드 배글 리가 19
7
8년에 쓴 소설 ‘플라이웨이’에서 처음 등 장한 이후 영미 문학에서 종종 나오던 말입니다.제임스 켈라리스 미국 신시네티대학교 교수는 2001년 사람들의 98%가 귀벌레 현상을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를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잘 해도 누구나 한 번씩은 미끄러질 때가 있는 것 같다”며 “중간고사 국어 과목에서
7
등급을 받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결과에 실망하는 대신 결과를 냉정하게 받아들이고 틀린 문제들을 철저히 분석했다. 그리고 기말고 사에 전력투구한 끝에 결국 최종 2등급을 받을 수 있었다. 김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반대로 임의의 다각형을 만들고 이에 대응하는 리듬을 찾았다. 원 위의 점 16개로 약 1
7
조 개가 넘는 다각형을 만들 수 있는데, 실제로 우리가 선호하는 리듬은 이 중 일부에 불과했고, 밀른 박사는 듣기 좋은 리듬을 분석해 공통점을 찾아냈다. 그 결과 좋은 리듬은 다각형의 변의 길이가 모두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따르면, A씨는 8월 16일부터 9월 6일까지 쿠웨이트에 업무 출장을 갔다가 9월
7
일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를 거쳐 귀국했다. A씨는 쿠웨이트에 있을 때부터 설사 증상을 보여 8월 28일(현지시간) 설사 증상으로 현지 의료기관을 방문했으나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공항에서 바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로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예산과 10년 이상의 개발 기간이 소요되는 국가적인 사업이 될 전망이다. 계획대로라면 202
7
년 첫 위성 발사 이후 2034년까지 모든 위성의 발사가 마무리 된다. 서비스는 2035년부터 시작된다.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위성이 우리 삶에 등장하게 될 멀지 않은 미래를 상상해 본다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