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38/s41467- 018-04906-1 박 교수는 “이 지문 센서는 온도와 압력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위조 지문을 구분할 수 있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록하고, 거리와 속도를 계산한다. 기자는 1km를 평균 7분 37초에 끊으며 10km를 1시간 17분 12초의 기록으로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완주 이후 가장 걱정했던 통증 또한 안정화와 테이핑 덕분인지 견딜 만했다. 특히 1시간을 넘게 뛰어도 발이 심하게 아프지 않다는 사실이 고무적이었다. 평소였다면 몇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받은 암석들 속에서 자란다. 조 책임연구원은 “가넷은 매우 단단한 광물로 모스 경도 7~7.5에 해당한다”며 “주로 대륙의 변성암 지대에서 산출된다”고 말했다.페리도트는 감람석(olivine)이라는 광물의 보석 이름이다. 감람석은 지구 맨틀을 구성하는 주된 광물로 고온의 마그마에서 새롭게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나면 임무가 중지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마스코트는 류구에서 태양이 3번 지고 뜨는 17시간 동안 예상 임무 시간을 초과해 작동하면서 류구를 탐사했습니다. 현재 과학자들은 마스코트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습니다.미네르바와 마스코트의 탐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이들이 소행성 위를 ... ...
-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한국 경제는 불황? 호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원유가격 상승 그 자체가 아니라, 유가 변동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07년이나 혹은 2017년처럼 중국 등 주요 산업국가의 원유 수요 증가로 유가가 상승하는 경우라면 한국 경제에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 1990년처럼 전쟁이나 혹은 혁명 같은 ‘공급측’ 요인으로 유가가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램프를 표준으로 채용하고 0.9 헤프네 램프를 1 국제촉광으로 고집했다). 그러다 1937년,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와 국제조명위원회(CIE)는 돌연 국제촉광을 흑체를 이용해 재정의하기로 한다. 빛을 100% 흡수하는 이상적인 흑체의 온도를 백금 응고점 온도까지 올렸을 때 그 순간 흑체 면적 1 cm²에서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바닷물로 배추를 절였다고 합니다. 바닷물의 염도(3.5% 전후, 염류의 비율은 염화나트륨 77.7%, 염화마그네슘 10.8%, 황산마그네슘 4.8%, 황산칼슘 3.7%, 황산칼륨 2.5%)가 배추절임에 최적이기 때문입니다. 배추가 절여지는 동안 김치에 넣을 양념을 만듭니다. 고춧가루와 액젓 등 기본 재료 외에도 지역에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17년 5월 20일 오전 7시,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국제공항. 서쪽 끝 로스앤젤레스에서 밤비행기를 타고 5시간을 날아왔다. 비행기에서 쪽잠을 잔 뒤라 몸은 천근만근이었지만 기분만은 설륽다. 여기서 1시간 쯤 동쪽으로 달리면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KSC·John F.Kennedy Space Center)다. 근 1년을 별렀던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오전 8시, 투명한 태양전지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살을 받으며 잠에서 깬다. 오후 2시,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냉장고에서 시원한 아이스커피 ... 잘 알아야 한다. 전기 변환 효율은 미국 국립재생가능에너지연구소(NREL)가 집계한 2018년 7월 기준 연구용으로 달성한 최고 효율을 기준으로 했다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1964년 ‘마리너 4호’를 통해 처음 화성을 관찰했으며, 1976년 7월 ‘바이킹 1호’가 화성에 착륙해 화성 표면의 사진을 지구로 전송했다.화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유일하게 인류의 거주 가능성이 점쳐지는 곳이다. 또 지하 깊숙이 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에 생명체 또한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