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소리 크기의 관계를 조사해 많은 수의 실험결과를 얻습니다. 이를 해석해 ‘TV 소리가 큰
집
일수록 가족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크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 가설연역법에 의한 탐구활동을 한 것입니다. 연구활동 준비는 여기까지! 다음호부터는 학생들의 실제 연구 결과물을 통해 어떤 과정으로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던 옷이 갑자기 더럽게 느껴진다. 크기가 아주 작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베개마다
집
먼지진드기가 10만~1000만 마리씩 살고 있다는 글을 읽고 나니 오늘 밤부터 무엇을 베고 자야 하나 걱정도 든다. 지금 누가 나에게 ‘빈대 붙어 살고 있는지’ 궁금한가. 여기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항공기 위주로 발전할 것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동의할 것”이라고 했다. 지금은 어느
집
에나 한 대씩은 있는 자동차도 처음에는 위험하고 불안한 기계였다. 문제는 부족한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얼마나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느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40년, 하늘길이 바뀐다Part 1.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보수에 이르기까지 늘 사람의 건강을 고려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그 안에 사는 사람도
집
을 항상 깨끗이 청소하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가화만사성을 넘어, ‘가건만사성(家健萬事成)’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정확히 맞췄다. 수 천년 전 사냥을 담당했던 남성은 사냥감을 찾기 위해 먼 거리를, 채
집
을 담당하는 여성은 과일 등을 찾기 위해 사물을 세밀하게 보도록 시력이 진화했기 때문이다. [여성의 입술이 붉을수록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된다는 뜻이다. 에스트로겐을 많이 만들 수 있다는 유전적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원고를 남겼다. 886점의 책과 논문을 포함해 오일러가 발표한 모든 것을 한데 모은 기념
집
을 1909년 스위스 자연과학회에서 만들기 시작했는데, 사절판 73권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분량으로 계획됐다. 이는 그가 살아 있는 동안 논문이나 책을 연평균 약 800페이지씩 쓴 셈이다.e라는 수의 개념은 약 100년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생각만 하기 쉽죠. 여러분은 절대 거기서 멈추지 마세요. 내가 해야 할 것을 실천하는 데
집
중하세요. 그것이 여러분의 꿈에 가까이 가는 지름길입니다.”늘 같은 곳에서 오늘도 어김없이 일어나고 있는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 수학의 원리를 찾는다는 성계 군. 그가 우리나라를 빛낼 ‘수학자’가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해. 학원을 다닐 계획은 있니?”“아뇨. 학원을 다니기에는
집
이 많이 어려워서요.”“그러면 먼저 인터넷 강의를 통해 수학을 공부해보렴. 처음 들을 때는 50%, 두번째는 70%, 세번째 들을 때는 90%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거야. 그리고 공부를 함께 할 친한 친구를 한명 만들어보렴.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 방법은 특히 한여름에 효과가 좋아 냉방비를 절감했다. 하지만 페인트를 사서
집
을 칠하는 과정을 10년에 한 번 꼴로 반복한다면 미국에서만 연간 1m2당 0.3달러가 들어간다. 만약 지표면의 1%를 하얗게 칠한다면 연간 3000억 달러가 들어갈 것이다. 지구 표면적의 약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땅과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학과의 게롤프 슈타이너 전 교수는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던 때에 방공호와 제자의
집
을 전전하며 암울한 삶을 보냈다. 그러나 천진난만한 상상력은 어두운 삶 속에서도 빛을 잃지 않는 법. 그는 전에 없던 왕성한 창작력과 필력으로 한 생물 목(생물 분류의 중간 단계)을 그림과 글로 완벽하게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